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0

[발송배전기술사] 교류선로와 직류선로의 선로 손실 비교!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중 교류선로와 직류선로의 선로손실을 비교한 풀이입니다. [문제] 전압의 첨두값이 같은 교류송전선로와 직류송전선로가 있다. 지금 이 두 선로에서 같은 전력을 보내고 있다고 할 경우 교류선로에서의 선로 손실은 직류선로의 그 것에 비해 어떻게 되는지 설명하시오. [답] 1. 교류전력 $P_{ac}$ 산출 · $P_{ac}=3V_{ac}I_{L}$ · $V_{ac}$ : 상전압(실효값) · $I_{L}$ : 선로 전류 2. 직류전력 $P_{dc}$ 산출 · $P_{dc}=2V_{d}I_{d}$ 3. 직류전류 $I_{d}$ 산출 1) 문제에서 $P_{ac}$ = $P_{dc}$ 로 주어졌으므로 2) $3V_{ac}I_{L}=2V_{d}I_{d}$ · · · ① 3) 또한, $V_{a.. 2023. 6. 29.
[발송배전기술사] 송전선로의 이도계산!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중 송전선로의 이도 산출 풀이입니다. [문제] 경동 연선 38[$mm^{2}$]를 사용해서 높이가 같고, 경간이 330[m]인 철탑에 가선하는 경우 이도는 얼마인가? 단, 경동 연선의 인장하중은 1,480[kg], 안전율은 2.2, 전선 자체의 무게는 0.348[kg/m] 라고 한다. [답] 1. 최대 사용 장력 $T_{0} = \frac{인장하중}{안전율} = \frac{1,480}{2.2} =672.7[kg]$ 2. 이도 $D = \frac{w S^{2} }{8 T_{0} } = \frac{0.348 \times 330^{2} }{8 \times 672.7} =7.04[m]$ · w[kg/m] : 전선 1[m] 당 중량[kg] · S[m] : 경간 3. 결론 · 이도는 .. 2023. 6. 29.
[발송배전기술사] 계통에서 3상 단락 고장 발생 시 전용량 차단방식에 의한 고장전류 산출 및 차단기 용량 산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중 계통에서 3상 단락 고장 발생 시 전용량 차단방식에 의한 고장전류 산출 및 차단기 용량 산출 풀이입니다. [문제] 그림과 같은 계통의 S점에서 3상 단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전용량 차단방식으로 고장전류 및 차단기 C의 용량을 구하시오. 단, 모선전압은 100[kV]이다. [답] 1. 전용량 차단방식의 정의 · 전용량 차단방식이란 S점 단락용량을 계산하여 이 보다 상위 값으로 차단기 용량을 선정하는 방법을 말한다. 2. S점에서 3상 단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전류 산출 1) 자기용량에 대한 값인 각 부의 임피던스를 기준용량 10[MVA]로 환산한다. (1) $G_{1} 발전기 : 20[ \%] \times \frac{10}{200} =1[ \%]$ $G_{1} 측 변압기 .. 2023. 6. 29.
[발송배전기술사] 부하의 무효전력과 공급전압 산출!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중 부하의 무효전력과 공급전압의 산출 풀이입니다. [문제] 160[kV] 무한대 모선에서 $r=2[ \%], x=10[ \%]$의 임피던스를 통해 역률 0.8, P = 1[pu]의 유효전력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경우, 부하의 무효전력 Q와 부하의 공급전압 $V_{r}$을 정확히 구하시오. [답] 1. 부하의 무효전력 Q 산출 · $Q= P \times tan( cos^{-1} 0.8) =1 \times tan36.87$˚$ = 0.75[pu]$ 2. 부하의 공급전압 $V_{r}$ 산출 1) 무한대 모선전압을 기준 Vector로 해서 $\dot{ V_{s} } =V_{s} \angle0 = 1[pu], \dot{ V_{r} } =V_{r} \angle(- \theta )$, .. 2023. 6. 29.
[발송배전기술사] 수력발전의 출력!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문제 중 수력발전의 출력 산출 풀이입니다. [문제] 유효 저수량 $200 \times 10^{3}[ m^{3} ]$의 조정지를 갖는 유효낙차가 80[m]인 수력 발전소가 있다. 자연유량이 $25[ m^{3}/s]$ 일 때, 아래 그림과 같은 부하곡선으로 운전하였을 경우의 첨두부하 시 및 경부하 시의 출력을 구하시오. 단, 수차와 발전기의 종합 효율은 86[%], 조정지는 최대한으로 이용해서 저수지에도 물이 넘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답] 1. 조건 · 유효 저수용량 $V [m^{3}]$, 유효낙차 $H [m]$, 자연유량 $Q [m^{3}/s]$, 종합효율 $\eta [\%]$ 라 할 때, 2. 첨두출력 시 사용수량 $Q_{P}$ 산출 · 첨두출력은 $Q_{P}$ 구간으로.. 2023. 6. 29.
[발송배전기술사] 수용가의 차단기용량 산출!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중 수용가의 차단기용량 산출 풀이입니다. [문제] 수전 단선도가 아래와 같이 주어진 수용가의 차단기 용량을 산정하시오. [답] 1. 전원 측 임피던스 $ \% \dot{ Z_{s} } $ 산출 · 기준용량을 $P_{n} = 2,000[kVA]$로 정하고, 수전점 단락용량은 $P_{s} = 500[MVA]$이므로 1) $P_{s} = \frac{100}{\% \dot{ Z_{s} }} \times P_{n}$에서 · $ \% \dot{ Z_{s} }= \frac{ P_{n} }{P_{s}} \times 100[\%] = \frac{2,000}{500 \times 10^{3} } \times 100[\%] =0.4[\%] $ 2) $\% { Z_{s} } = \sqrt{(\%{.. 2023. 6. 29.
[발송배전기술사] 계통에서 3상 단락 고장 발생 시 선택차단방식에 의한 고장전류 산출 및 차단기 용량 산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중 계통에서 3상 단락고장 발생 시 선택차단방식에 의한 고장전류 산출 및 차단기 용량의 산출 풀이입니다. [문제] 그림과 같은 계통의 S점에서 3상 단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선택차단방식으로 고장전류 및 차단기 C의 용량을 구하시오. 단, 모선전압은 100[kV]이다. [답] 1. 선택차단방식의 정의 · 선택차단방식이란 차단기 설치점 좌·우에서 각각 단락이 발생한 경우의 실제 통과 고장용량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말 한다. 2. S점에서 3상 단락고장이 발생한 경우 고장전류 산출 1) 자기용량에 대한 값인 각 부의 임피던스를 기준용량 10[MVA]로 환산한다. (1) $G_{1} 발전기 : 20[ \%] \times \frac{10}{200} =1[ \%]$ $G_{1} 측 변압기.. 2023. 6. 29.
[발송배전기술사] 양수 발전 운전 중 탈락 시 계통 주파수 및 연계선 전력의 변화량 산출!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중 양수 발전 운전 중 탈락 시 계통 주파수 및 연계선 전력의 변화량 산출 풀이입니다. [문제] A, B 양 계통이 연계운전 중 A계통의 양수 발전소가 256[MW]로 양수 운전 중에 탈락하였을 때 발생하는 계통 주파수 변화와 연계선 전력량을 구하시오. 단, 사고 직전의 연락선 전력은 B → A 로 150[MW] 수전하고 있었음. 구 분 A 계 통 B 계 통 계 통 용 량 2,000[MW] 8,000[MW] 계통 특성 정수(자기용량 기준) 1.4[%MW/0.1$H_{z}$] 0.85[%MW/0.1$H_{z}$] [답] 1. 개념도 2. 계통 전력 - 주파수 특성 정수 통일 · $\% K_{A} = \frac{K_{A} }{L_{A}} \times 100[\%]$ · $ L .. 2023. 6. 29.
[발송배전기술사] 계통에서 발전기 탈락 시 주파수 및 연락선 전력의 변화!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중 계통에서 발전기 탈락 시 주파수 및 연락선 전력의 변화량 산출 풀이입니다. [문제] 그림과 같이 2개의 전력 계통이 연락선으로 연결되어 있다. 지금 A계통에서 350[MW]의 발전기가 탈락하였을 경우, 계통 주파수 및 연락선 전력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단, A계통의 계통 정수는 40[MW/0.1$H_{z}$], B계통의 계통 정수는 80[MW/0.1$H_{z}$]라 하고, 탈락 전의 연락선 전력은 0이었다고 한다. [답] 1. 문제에서 제시한 A, B계통의 계통 정수를 [MW/$H_{z}$] 단위로 다시 정리하면, $K_{A} : 400[MW/ H_{z} ]$, $K_{B} : 800[MW/ H_{z} ]$ 2. A, B 양 계통에서는 전력 균형에 관하여 다음 식이 성립.. 2023. 6. 2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