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직류송전방식의 적용분야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대용량 장거리 송전, 해저 Cable을 이용한 직류송전, 교류계통의 연계, 도시밀집지역의 직류송전 순으로 서술
하겠습니다.

[문제] 직류송전방식의 적용분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 직류송전방식의 적용분야에는 대용량 장거리 송전, 해저 Cable을 이용한 직류송전, 교류계통의 연계, 도시밀집지역
의 직류송전 등이 있다.
2. 대용량 장거리송전
1) 주로 500[km] 이상의 장거리 송전시 경제성이 있다.
2) 북미, 남미에서 많이 사용 중
3) 직류송전방식의 약 80[%] 정도 차지
3. 해저 Cable을 이용한 직류송전
1) AC의 유전체손 때문에 DC 사용(Sheath 전류에 의한 손실, 페란티효과 증대 등)
2) 주로 유럽 등지에서 많이 사용 중
3) 직류송전방식의 약 10[%] 정도 차지
4. 교류계통의 연계
1) 공급신뢰도 향상, 송전용량 증대
2) Back to Back 방식

5. 도시밀집지역의 직류송전
· 단락용량 저감대책으로 직류계통간 연계(영국의 런던)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직류송전방식의 적용분야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송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의 전력전송방식! (86) | 2024.12.13 |
---|---|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방식 중 Point to Point방식과 Back to Back방식의 비교! (198) | 2024.12.12 |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방식의 구성설비! (76) | 2024.12.10 |
[발송배전기술사] HVDC송전의 장·단점! (36) | 2024.12.09 |
[발송배전기술사] 교류송전 방식의 장·단점! (44) | 2024.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