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직류송전방식 중 Point to Point방식과 Back to Back방식의 비교 설명입니다.
PTP방식의 HVDC송전, BTB방식의 HVDC 송전 , PTP방식과 BTB방식의 비교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직류송전방식 중 Point to Point방식과 Back to Back방식을 비교 설명하시오.(제116회 2교시, 제121회 2교시)
[답]
1. PTP(Point to Point)방식의 HVDC송전
1) PTP 구성도
· 송전선로 양 계통을 직류연계하는 방식

2) 직류연계방식
(1) Monopolar 방식
(2) Homopolar 방식
(3) Bipolar 방식
3) PTP방식의 적용목적
(1) 대용량 전력의 경제적인 송전이 주요목적
(2) 장거리 가공송전선로
(3) 육지와 섬간의 장거리(40[km] 이상) 해저 Cable 선로
4) 향후 우리나라의 PTP HVDC 송전방식 적용 전망
(1) 육지와 섬(제주도 등) 계통간 PTP방식 연계
(2) 한국과 일본간의 PTP방식 연계
(3) 시베리아 - 한국 - 일본간의 PTP방식 연계
2. BTB(Back to Back)방식의 HVDC송전
1) BTB 구성도
· PTP System에서 송전선로가 없는 방식

2) BTB 방식 적용목적
(1) 주파수나 위상변환 또는 계통의 안정화가 주요목적
(2) 송전선이 없고, 중·소용량의 전력전송
3) BTB 방식 적용 예
(1)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 계통연계(독일 - 폴란드간 HVDC 연계)
(2) 주파수가 다른 계통연계(일본 중·서부 60[Hz] - 동부 50[Hz] 연계)
(3) 계통내에 존재하는 Sub harmonic(저조파)을 저감하기 위한 전력계통 연결
4) BTB HVDC 연계 검토지역
(1) 남·북한 계통 BTB HVDC 연계
(2) 대구 - 옥천간 BTB HVDC 연계(대규모 계통에 존재하는 저차 고조파 영향을 줄이고 송전용량 증대)
3. PTP방식과 BTB방식의 비교
항 목 | P T P 방식 | B T B 방식 |
송전용량 | 대용량 | 중·소용량 |
연계 송전선로 | 있다.(해저 Cable 또는 가공 T/L) | 없다. |
목 적 | 대용량 장거리 송전 | 위상, 주파수 변환, 계통안정도 향상 |
경 제 성 | · 가공 T/L의 경우 450[km] 이상에서 효과 있음 · 해저 Cable일 경우 45[km] 이상에서 효과 있음 |
|
적용분야 | · 해저 Cable 송전 · 대용량 장거리 송전 |
· 교류 계통간 비동기 연계 · 중·소용량의 전력전송 |
현 황 | 제주 - 해남간 HVDC 연계 | 일본 중·서 부 - 동부 연계 |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로 나올 법한 직류송전방식 중 Back to Back방식과 Point to Point방식을 비교 설명하여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송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가공전선의 굵기결정시 고려사항! (58) | 2024.12.14 |
---|---|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의 전력전송방식! (85) | 2024.12.13 |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방식의 적용분야! (74) | 2024.12.11 |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방식의 구성설비! (76) | 2024.12.10 |
[발송배전기술사] HVDC송전의 장·단점! (36) | 2024.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