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직류송전의 전력전송방식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Monopolar 방식, Bipolar 방식, Homopolar 방식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직류송전의 전력전송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63회 2교시)
[답]
1. 개요
· 직류송전의 전력전송방식에는 Monopolar 방식, Bipolar 방식, Homopolar 방식 등이 있다.
2. Monopolar 방식
· Bipolar 방식 송전선로 건설초기에, 수요증가로 인한 Bipolar 방식으로의 정상 운용시까지 변환설비의 투자지연을
목적으로 임시적으로 채용하는 방식
1) 단극 대지(해수)귀로 방식

(1) 특징
① 각종 시설물에 대한 전기적 부식 발생
② 자기콘파스에 의한 영향
(2) 적용
① 세계 최초 스웨덴 고틀랜드 섬 직류송전
② 이탈리아 살자니아 섬 직류송전
③ 스웨덴 - 덴마크 콘디스칸 연계
2) 단극 도체귀로 방식

(1) 특징
· 전기적 부식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적용
· 일본 북해도 - 본토 연계 250[kV]
3. Bipolar 방식
1) 쌍극 중성점 양단 또는 1단 접지방식

(1) 특징
① 한쪽 선로에 정전압, 다른쪽 선로에 부전압 인가, 중성점을 접지한 방식
② 한쪽 사고시 12 전압으로 운전(대지귀로)
(2) 적용
① 직류송전에서 가장 일반적인 방식
② 뉴질랜드 남북연계
③ 노르웨이 - 덴마크 스카게라이크 연계
④ 캐나다 넬슨리버
⑤ 제주 - 해남 연계(쌍극 중성점 양단 접지방식) 등이 있다.
2) 쌍극 중성선 도체방식

(1) 특징
① 쌍극방식에 중성선 연결 1점만 접지한 방식
② 한쪽 사고시 대지귀로로 하지않고 12 전력 전송
(2) 적용
· 일본 북해도 - 본토 연계(최종형태), 캐나다 뱅쿠버 섬 연계(최종형태)
4. Homopolar 방식

1) 특징
(1) 두개의 도체가 모두 음극성인 방식
(2) 음극성이 코로나에 의한 장해가 적다.(∵음극성이 코로나 방전개시전압이 높다.)
(3) 대지귀로 방식
(4) 절연비용 절감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직류송전의 전력전송방식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송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애자! (53) | 2024.12.15 |
---|---|
[발송배전기술사] 가공전선의 굵기결정시 고려사항! (58) | 2024.12.14 |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방식 중 Point to Point방식과 Back to Back방식의 비교! (198) | 2024.12.12 |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방식의 적용분야! (74) | 2024.12.11 |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방식의 구성설비! (76) | 2024.1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