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기술용어64

[발송배전기술사] 교토 의정서(기후 협약)!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교토 의정서(기후 협약)에 대한 설명입니다.교토 의정서의 개요, 주요내용, 교토메카니즘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교토 의정서(기후 협약)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교토 의정서(기후 협약)의 개요  · 전문 27개의 조항 및 부속서 A, B로 구성 2. 교토 의정서(기후 협약)의 주요내용  1) 선진 38개국, 2008년 ~ 2012년까지 5년 동안 평균 5.2[%] 온실가스 감축 의무화  2) 감축가스 대상 6종 선정     (1) $CO_{2} $, $CH_{4} $, $NO_{2} $ : 1990년 기준으로 감축     (2) 대체 프레온가스 3종 ($HFC_{s} $, $PFC_{s} $, $SF_{6}$) : 1995년 기준으로 감축 3. 교토 메.. 2024. 7. 20.
[발송배전기술사] 환경장해!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환경장해에 대한 설명입니다.환경장해의 개요, 전기적 환경문제, 기계적 환경문제, 대기오염장해, 온배수에 의한 영향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환경장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환경장해의 개요  1) $CO_{2}  $ 배출에 의한 지구 온난화  2) $NO_{x} $,  $SO_{x} $ 등의 배출에 의한 대기오염 등 환경장해 발생 2. 전기적 환경문제  1) 코로나장해     · 코로나에 의한 가청소음 및 전파장해 발생     (1) 가청소음장해        · 가청소음 기준 50[dB] 이상이 되면 악영향을 끼침     (2) 전파장해(RFI, TVI)        · 전위경도가 21.1[kV/cm] 이상시 반 Cycle 마다 발생     (3) 복도체.. 2024. 7. 19.
[발송배전기술사] Micro Grid System!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Micro Grid System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Micro Grid System의 도입배경, Micro Grid System의 목표, 효과, 적용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Micro Grid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요  1) 기존의 Power Grid    · 전체 전력계통에 연결되어 있는 전력망으로 765/345/154/22.9[kV] 등으로 나뉘어져 있는 Grid  2) Micro Grid     (1) Grid상 취약한 부분에 대하여 Local에 분산형전원 등의 발전원을 도입하여 하나의 독자적인 전력망을 구축한           Network     (2) 즉, 다수의 분산전원과 부하로 구성되어 계통과 연계 또는 전력회사의 .. 2024. 7. 18.
[발송배전기술사] Smart Grid!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Smart Grid에 대한 설명입니다.Smart Grid의 개요, 현재의 전력망과 Smart Grid의 비교, Smart Grid 구축기술, 예상효과, 국내현황, 실현과제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Smart Grid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Smart Grid의 개요  1) 지능형 전력망    · 기존전력망(Power Grid) + 정보통신기술(IT) 접목  2) 전력공급자와 소비자의 양 방향 실시간 정보교환     (1) Energy 효율의 최적화     (2) 최적의 요금시간대 찾아 Energy 사용  3) 개념도 2. 현재의 전력망과 Smart Grid의 비교비 교  항 목현재  전 력 망Smart Grid전원공급앙식구조통신방식사고시 복구설비 점검.. 2024. 7. 17.
[발송배전기술사] 손실계수(Loss Factor)!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손실계수(Loss Factor)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손실계수(Loss Factor)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1. 개요  1) 전력의 사용은 시각 및 계절에 따라 심하게 변화하기 때문에 선로의 전력손실도 심하게 변화하게 된다.  2) 말단 집중부하 선로에 있어서 시각적으로 변화하는 선전류를 $i[A]$, 전선로 1조의 저항을 R[Ω]이라고 하면, 전선로      1조당의 저항손은 $i^{2} R[W]$이고, T시간 중의 손실전력량 $W_{c} = \int_0^T i^{2} R\,dt [Wh]$ 이다.  3) 또, 같은 기간 중의 선전류 최대치 $I_{m} [A]$가 계속해서 흘렀다고 하면, 최대전력손실량 $W_{m}=I_{m}^{2}RT [Wh]$이다. 2.. 2024. 7. 16.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에서 예비력의 의미와 종류!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예비력의 의미와 종류에 대한 설명입니다.예비력의 의미, 종류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전력계통에서 예비력의 의미와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전력계통에서 예비력의 의미  1) 예비력의 정의     (1) 전력계통 운용상 전원설비의 규모는 최대수용전력에 알맞은 설비규모화로 발전기보수, 갑작스런 외부사고로 인한           수급불균형, 수요증가에 알맞은 예비적인 설비규모가 있어야 한다.     (2) 이와같은 최대수요전력을 초과하여 예비로 보유한 전력을 최대수요전력의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 예비율이다.  2) 예비력 구분 개념도 2. 예비력의 종류  1) 설비예비력     (1) 설비예비력의 정의 : 설비용량(A) - 최대수요(C)        .. 2024. 7. 15.
[발송배전기술사] EMS(Energy Management System)란?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EMS(Energy Management System)에 대한 문제 풀이입니다.EMS(Energy Management System)의 정의, 전력계통 운용방식, 기능, 미래의 종합 자동화 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문제] EMS(Energy Management System)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EMS(Energy Management System)의 정의    EMS(Energy Management System)란 전국의 전력 시스템을 감시, 분석하여 전력계통을 안정적이고, 경제적으로   운영, 제어, 관리하기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을 말하며, AGC/SCADA System에 안정도 해석기능, 예측 및 통계기능,   지역급전과 자료연계(SCADA) 등 제반.. 2024. 7. 14.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의 3상태 및 신뢰도 제어!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전력계통의 3상태 및 신뢰도 제어에 대한 설명입니다.신뢰도 제어의 정의, 전력계통의 3상태, 신뢰도 제어의 향후 과제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전력계통의 3상태 및 신뢰도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신뢰도 제어(Security Control)의 정의  1) 전력계통에 외란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전력계통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여러가지 제어  2) 공급신뢰도를 말함. 전압, 주파수 등 전력계통 사고영향 최소화  3) 평상시 : 정전의 빈도, 규모, 시간 등 가능한 적게하는 예방제어  4) 긴급시 : 사고발생시 계통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긴급제어  5) 복구시 : 복구를 위한 모든 복구제어 2. 전력계통의 3상태  1) 정상상태(예방제어.. 2024. 7. 13.
[발송배전기술사] 신개념 전력품질!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신개념 전력품질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순시전압 상승, 순시전압 강하, 순시 정전, 과도전압 상승, 상시전압 변동, 전압 불평형, 고조파, 플리커, 결언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신개념 전력품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요  1) 전압품질    · 순시전압 상승, 순시전압 강하, 순시 정전, 과도전압 상승, 상시전압 변동, 전압 불평형 등을 말한다.  2) 전력품질    · 전압품질, 고조파, 플리커 등을 말한다.  3) 개념도 2. 순시전압 상승(Swell)  1) 순시전압 상승의 발생원인    · 1선 지락고장시, Capacitance 충전시 등  2) 순시전압 상승 방지대책     (1) 유효접지         · Y결선에서 건전상의 전위상승을 .. 2024. 7.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