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직류송전방식의 구성설비에 대한 설명입니다.
직류송전방식의 정의, 구성설비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직류송전방식의 구성설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90회 2교시)
[답]
1. 직류송전방식의 정의
· 직류송전방식이란 교류전력을 직류로 변한시켜 송전한 후 수전점에서 교류로 재 변환시켜 공급하는 방식을 말한다.
2. 직류송전방식의 구성설비
1) 직류송전계통의 구성도

2) 직류송전계통의 구성설비
(1) HSCB(High Speed Circuit Breaker : 고속 차단기)
① 전류 0점장치 + 산화아연저항으로 구성
② 큰 용량 차단기 미비(개발 중)
(2) DC 송전선로(HVDC Cable)
① 유침지 Solid, OF, GF, Pipe Cable
② XLPE(CV Cable) 사용
(3) 동기조상기(RC), 전력용 콘덴서(SC)
· 무효전력 공급 : 유효전력의 50~60[%] 정도 필요
(4) 변환기
① 순변환기(Rectifer : 정전류 제어) : AC를 DC로 변환
② 역변환기(Inverter : 정전압제어) : DC를 AC로 변환
3) 전형적인 변환소 형태

(1) 변환소
· 12 Pulse 변환설비로 구성
(2) 변환설비(A)
① 2개의 3상 변환 브릿지 사용
② 공기, Oil, 물, 프레온가스에 의해 냉각
③ 광섬유에 의해 점호신호 전달
(3) 변압기(B)
① 3상 옥외형
② 대부분이 Y - Y - △ 결선(V/V측 Y 및 △로 결선, 교류측 Y결선 중성점 접지)
(4) Filter
① 직류 Filter
· (C) : 평활리액터(교류 전압강하로 인한 전류실패 경감, 경부하시의 직류단속 억제, 직류계통 사고시 고조파
억제기능, 포화방지하기 위해 공심리액터 사용)
· (D) : DC Filter(고조파 제거)
② 교류 Filter
· (E) : 공진분로 Filter
· (F) : 교류고조파여과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직류송전방식의 구성설비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송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방식 중 Point to Point방식과 Back to Back방식의 비교! (198) | 2024.12.12 |
---|---|
[발송배전기술사] 직류송전방식의 적용분야! (74) | 2024.12.11 |
[발송배전기술사] HVDC송전의 장·단점! (36) | 2024.12.09 |
[발송배전기술사] 교류송전 방식의 장·단점! (44) | 2024.12.08 |
[발송배전기술사] 송전선로 이상전압 방지대책! (21) | 2024.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