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단락용량 증대가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감대책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단락전류 증대시 문제점, 단락전류 억제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단락용량 증대가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1) 동기기 단락전류의 시간적변화

※ 최대 비대칭 단락전류 : 전선, CT, 계전기 Setting, 열적 강도 구할 때 참조사항
※ 대칭 단락전류 : 차단기류, Fuse 표준값 선정 시 참조사항
2) 동기기 단락전류의 Mechanism
(1) 동기기가 정지상태에서 기동시 즉, 전류가 갑자기 변하는 상태에서는 제동권선에 직류가 유기되어 전기자권선이
단락상태에 놓이게 된다.
(2) 동기기의 단락순시전류는 임피던스의 크기가 작은 초기과도리액턴스(x″d)에 의해 제한되고,
(3) 이어 과도리액턴스 (x′d)를 거쳐,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정상상태로 안정되고, 이후 부터의 정상단락전류는
동기리액턴스(xd)에 의해 제한된다.
3) 단락전류 증대원인
(1) jx″d≪jxd로 발전기 단락용량 증대 → 단락전류 증대
· Ps↑=100%Z↓Pn=√3VIs↑
(2) 계통의 분산전원 연계강화로 인한 x↓로 단락전류증대
· Is↑=100%Z↓In
(3) 전원입지의 집중화로 인한 x↓로 단락전류증대
(4) 2회선 2Route화로 인한 x↓로 단락전류증대
2. 단락전류 증대시 문제점
1) 차단기의 차단내력 증대(차단기용량 증대)
(1) 차단기의 접촉부 소손으로 인한 신뢰성 문제, 가격상승
(2) 단락용량 증대 : Ps↑=√3VIs↑
2) 지락전류의 증대
(1) 유효접지계통에서는 단락전류의 증대와 더불어 지락전류도 증대하는 경향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락전류가
더 클 때도 있음
(2) ˙I1g↑=3˙Ea(˙Z0+˙Z1+˙Z2)↓ (∵˙Z↓)
(3) 지락전류의 증대는 인근 통신선에 전자유도장해 발생(˙Em=−jωMl3˙I0)
3) 직렬기기의 열적, 기계적강도 상승
4) 차단기의 과도회복전압(TRV : Transient Recovery Voltage) 상승
5) 애자류의 Arc 성능도 단락전류 증대 시 문제가 되며, 사고의 고속차단에도 문제가 된다.
3. 단락전류 억제대책
1) 고임피던스기기 채용
(1) 발전기, 변압기 등의 임피던스를 현재 사용중인 10[%]에서 13~17[%]로 상향 조정한다.
(2) 이 방법은 임피던스를 높임에 따라 효율저하, 무효전력손실 증대, 계통안정도 저하, 전압변동 증대 등의 문제가
따르지만, 단락전류 억제가 더욱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채용되고 있다.

2) 한류리액터의 채용
(1) 직렬리액터 방식
① 송전선에 리액터를 직렬로 삽입하는 방식
· 리액턴스 증가로 단락전류 감소 Is↑=100%Z↓In
② 상시 선로에 전력조류를 흐르게 한다.
(2) 분로리액터 방식
① 모선간의 불평형 조류만을 흐르게 하므로 직렬리액터 방식에 비해 소용량의 리액터로 가능하다.
· 모선분리 효과 → %Z↑
② 모선간의 전력융통의 제한으로 계통운용의 탄력성은 저하된다.
3) 계통분할방식 채용
(1) 단락전류의 증대를 피하기 위해 변전소 모선을 분할하여 계통을 분리하고, 송전선의 Loop 회선을 줄이는 방법
(2) 상시 분할방식
· 안정도 및 설비이용률이 낮고, 손실이 많다.
(3) 사고시 분할방식
· 모선분할용 차단기의 차단용량은 모선분리 이전의 단락용량을 차단할 수 있는 큰 것으로 선택한다.
4) 계통전압의 격상
(1) 가장 합리적인 방법
(2) P=√3VIcosθ 에서 V가 커지면 I가 작아져, Is가 작아진다.(Is↓=100%ZI↓ → Is∝I)
(3) 345[kV] 계통 Is 일 때 765[kV] 격상시 0.45Is
5) 직류연계(HVDC)
(1) 연계된 계통을 분리한 것과 같은 효과 → 단락용량 경감
(2) 설비비가 고가이므로 경제성 검토필요
6) 고장전류 제한기(계통 연계기) 사용

(1) Thyristor 와 L - C 회로를 이용한 고속도 임피던스 조정장치
(2) 평상시 : L - C 직렬공진에 의한 저임피던스 작용
· L - C 직렬 : X=XL−XC[Ω]
(3) 사고시 : L - C 병렬회로로 고속전환하여 고임피던스 작용
· L - C 병렬 : X=XL·XCXL−XC[Ω]
(4) 계통연계기의 장점
① 설비용량 증가효과
② 단락사고 발생시 정전범위 국한되어 신뢰도 향상
③ 계통분할에 따른 공급불안정이 없다
④ 계통구성의 자유도가 크고, 계통전체가 강화된다.
⑤ 한류리액터와 달리 전압변동의 문제가 없다.
7) PF(Power Fuse)에 의한 백업차단방식
(1) 장점
① 차단시간이 빠르고 한류차단
② 열적강도 130, 기계적강도 150로 되어 경제설계 가능
(2) 단점
· 차단시 이상전압 발생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단락용량 증대가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감대책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송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단단법! (22) | 2024.02.01 |
---|---|
[발송배전기술사] 등면적법! (19) | 2024.01.31 |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기 단자에서 2상 단락사고 전류가 3상 단락사고 전류의 86.6[%]! (31) | 2024.01.29 |
[발송배전기술사] 송전선로의 대칭분 회로! (29) | 2024.01.28 |
[발송배전기술사] 대칭 좌표법에 의한 고장계산! (20) | 2024.01.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