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77 [발송배전기술사] De Cay Method!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De Cay Method에 대한 설명입니다.De Cay Method의 개념, 개념도, 결언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지중 Cable 고장점 탐지법 중 De Cay Method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De Cay Method의 개념 1) Arc 반사법으로 지중 Cable 고장점을 탐지하지 못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방법 2) DC 내전압기를 이용하여 고장점에서 섬락이 발생하면 이때의 과도전압파형을 TDR로 포착, 분석하여 측정 2. De Cay Method의 개념도 · TDR(Time Domain Reflect Meter) : 펄스발생 측정기기 · SU(Separation Unit) : 분류기 .. 2025. 1. 19. [발송배전기술사] Arc 반사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Arc 반사법에 대한 설명입니다.Arc 반사법의 정의, 개념도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지중 Cable의 고장점 탐지법 중 Arc 반사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Arc 반사법의 정의 1) 지중 Cable의 고장점 탐지법 중 Pulse Radar Method로 탐지할 수 없는 경우 2) TDR과 Surge 발생기기를 병행하여 지중 Cable의 고장점을 탐지하는 방법을 말한다. 2. Arc 반사법의 개념도 · TDR(Time Domain Reflect Meter) : 펄스발생 측정기기 · ESU(Energy Separation Unit) : 에너지 분류기 · SG : Surge Generator · CU :.. 2025. 1. 18. [발송배전기술사] Pulse Radar Method!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Pulse Radar Method에 대한 설명입니다.Pulse Radar Method의 정의, 개념도, 원리, 적용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지중 Cable의 고장점 탐지법 중 Pulse Radar Method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Pulse Radar Method의 정의 1) Pulse Radar Method란 지중 Cable의 고장점 탐지법 중 하나로서 2) 고장 Cable에 고주파 Pulse를 인가하고, 반사파의 진행시간을 측정,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산출하여, 고장점을 탐지하는 방법을 말한다. 2. Pulse Radar Method의 개념도 · l=V·t2 · $ l.. 2025. 1. 17. [발송배전기술사] Cable의 동결 누유탐지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Cable의 동결 누유탐지법에 대한 설명입니다.Cable의 동결 누유탐지법의 정의, 동결재의 특성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Cable의 동결 누유탐지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63회 1교시, 제92회 1교시, 제115회 4교시)[답]1. Cable의 동결 누유탐지법의 정의 1) Cable의 동결 누유탐지법이란, OF Cable 또는 POF Cable의 누유사고 발생시, 누유지점을 찾는 방법 중 하나로서, 2) Cable의 중간지점을 동결하고, 동결점을 기준으로 누유점이 좌, 우 어느쪽인가 판별하고, 누유점쪽으로 동결을 계속 반복 실시하여 구간을 좁혀가면서 누유지점을 찾아가는 방법이다. 3) 동결시에는 부압(대기압 미만의 압력)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 2025. 1. 16. [발송배전기술사] Murray Loop 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Murray Loop 법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지중선로 고장 탐색법 중 Murray Loop 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63회 1교시, 제92회 1교시, 제112회 1교시, 제115회 4교시, 제117회 1교시)[답]1. Murray Loop 법의 개요 · Murray Loop 법은 Wheat Stone Bridge의 원리를 이용하여, 지중 Cable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계산하며, 일반적 으로 수천[V] 이상의 전원에서는 고압 Murray Loop 법을, 그 외는 저압 Murray Loop 법을 사용하고 있다. 2. 고장점 거리 계산(예 : 1선 지락 고장시)3. Murray Loop 법의 장·단점 1) 장점 (1) 측정 정밀도가 높고, .. 2025. 1. 15. [발송배전기술사] 전위강하법(61.8[%] 법칙)!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전위강하법(61.8[%] 법칙)에 대한 문제 풀이입니다.개요, 전위강하법(61.8[%] 법칙), 결론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문제] 접지저항 측정법 중 전위강하법(61.8[%] 법칙)을 증명하시오.(제72회 2교시, 제107회 4교시)[답]1. 개요 · 변전소 접지망과 같은 대규모 접지극의 접지저항 측정법으로는 전위강하법(Fall of Potential Method : 61.8[%] 법칙)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전위강하법(Fall of Potential Method : 61.8[%] 법칙) 1) 반구형 접지극으로 부터 x 만큼 떨어진 곳의 지표면 전위 V(x)는 · V(x)=ρI2πx[V] 2) 거.. 2025. 1. 14. [발송배전기술사] Wenner의 4전극법이란?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Wenner의 4전극법에 대한 문제 풀이입니다.개요, Wenner의 4전극법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문제] Wenner의 4전극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요 · 대지고유저항율 측정방법에는 2전극법, Wenner의 4전극법, 간이 측정법 등이 있으나 Wenner의 4전극법이 정확 도가 높고, 측정도 간편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Wenner의 4전극법 · 지표상에 일직선으로 a[cm] 의 간격으로 4개의 전극 A1,P1,P2,A2를 배치하고, A1,A2극에 전류 I[A]를 지중으로 흘린 경우, $ P_{1}, \,.. 2025. 1. 13. [발송배전기술사] 활선상태에서 전력 Cable의 열화진단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활선상태에서 전력 Cable의 열화진단법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Cable의 열화진행과정, 전력 Cable 의 열화원인과 형태, 전기적인 요인(전압 열화)의 종류 및 특징, 활선상태에서 전력 Cable의 열화진단법, 열화방지대책, 결언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활선상태에서 전력 Cable의 열화진단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90회 2교시, 제96회 4교시, 제110회 3교시, 제123회 4교시)[답]1. 개요 · CV Cable을 지중에 설치한 후 6~8년이 경과하면 열화현상이 발생한다. 2. Cable의 열화 진행과정 3. 전력 Cable의 열화원인과 형태구 분열 화 원 인형 태전기적 요인운전 전압, 과전압, 서지 전류부분방전열화, 전기 T.. 2025. 1. 12. [발송배전기술사] 사선상태의 Cable 열화진단!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사선상태에서의 Cable 열화진단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Cable의 열화 진행과정, 열화의 원인과 형태, 전압열화의 종류 및 특징, 사선상태의 Cable 열화 진단방법, Cable의 열화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사선상태에서의 Cable 열화진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60회 2교시, 제62회 4교시, 제117회 1교시)[답]1. 개요 · CV Cable을 지중에 설치한 후 6~8년 정도가 지나면 열화현상이 발생한다. 2. Cable의 열화 진행과정 3. 전력 Cable의 열화원인과 형태구 분열 화 원 인형 태전기적 요인운전 전압, 과전압, 서지 전류부분방전열화, 전기 Tree, 수 Tree열적 요인이상 온도 상승, 열 신축열에 .. 2025. 1. 11. 이전 1 2 3 4 5 6 7 ··· 4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