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377 [발송배전기술사] 대칭 좌표법에 의한 고장계산!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대칭 좌표법에 의한 고장계산에 대한 설명입니다.개념, 대칭분 전류, 영상전류, 정상전류, 역상전류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대칭 좌표법에 의한 고장계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요 1) 대칭 좌표법의 정의 (1) 대칭 좌표법이란 3상 회로의 불평형 고장 계산법으로서 (2) 3개의 대칭성분을 각각 계산한 후 (3) 각 성분의 결과를 중첩시켜서 실제 불평형값을 구하는 방법을 말한다. 2) 대칭 좌표법의 개요도 2. 대칭분 전류 1) 불평형 전류의 개념도 2) 대칭분 성분분해 3) 실제전류로 합성 3. 영상전류(˙I0) 1) 영상전류의 정의 · 같은 크기와 같은 위상을 가진 단상 평형전류 2) 영상.. 2024. 1. 27.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기의 자기여자현상이란?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발전기의 자기여자현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발전기 무부하 포화곡선과 충전 특성, 발전기 자기여자현상의 영향, 발전기 자기여자 현상과 단락비, 발전기 자기여자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해 보겠습니다. [문제] 발전기의 자기여자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 선로 충전용량보다 작은 발전기로 장거리 송전선로를 시충전할 경우 발전기를 무여자 상태에서 송전선로에 접속 하더라도 90˚ 진상전류인 선로의 충전전류에 의해서 전기자 반작용 중의 증자작용이 발생하여 발전기 단자전압이 순식간에 이상상승하게 되는 현상 2. 발전기 무부하 포화곡선과 충전특성 1) 장거리 송전선로의 경우 (1) 무여자의 경우 전압은 순식간에 VN 값 까지 상승 ∴장거리 송.. 2024. 1. 26.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기의 무부하 포화곡선과 3상 단락곡선!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발전기의 무부하 포화곡선과 3상 단락곡선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단락비의 특성, 적용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발전기의 무부하 포화곡선과 3상 단락곡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요 1) 발전기의 무부하 포화특성 · 발전기를 무부하로 운전하면서 계자전류를 서서히 증가시킬때 단자전압과의 관계를 무부하 포화특성이라 한다. 2) 단락특성 · 발전기 단자를 3상 단락한 상태에서 계자전류와 전기자전류와의 관계는 거의 직선적이다. 3) 단락비(Ks) · $K_{s} = \frac{무부하로\, 정격전압을\, 발생하는데\, 필요한 \, 계자전류}{3상\, 단락시\, 정격전류와\, 같은\, 지속단락전류를 \, 흘리는데 \, 필.. 2024. 1. 25. [발송배전기술사] 차폐선(Shielding Wire)!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차폐선(Shielding Wire)에 대한 설명입니다.차폐선(Shielding Wire)의 차폐계수, 차폐선의 차폐효과, 결언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송전 전력선 주위에 있는 통신선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유도장해의 대책으로 차폐선을 가설한다. 이 때의 차폐계수에 대한 식을 유도하고, 차폐효과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78회 4교시, 제84회 2교시, 제98회 3교시, 제108회 4교시, 제114회 3교시, 제115회 3교시, 제116회 4교시, 제123회 3교시)[답]1. 차폐선(Shielding Wire)의 차폐계수 1) 차폐선의 개념도 · ˙Z12 : 전력선과 통신선의 상호 임피던스 · .. 2024. 1. 24. [발송배전기술사] 유도장해!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유도장해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정전유도의 원리, 전자유도의 원리, 유도장해 경감대책, 유도전압 제한값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유도장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63회 3교시, 제66회 4교시, 제78회 4교시, 제84회 2교시, 제92회 1교시, 제107회 3교시, 제108회 4교시, 제114회 3교시, 제120회 2교시, 제123회 3교시)[답]1. 개요 1) 유도장해의 정의 · 전력선이 통신선에 근접해 있으면, 통신선에 전압이 유도되어 여러가지 장해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의 장해를 유도장해라 한다. 2) 유도장해의 종류 (1) 정전유도(C) → 영상전압 ㉮ 발생윈인 : 평상시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정전용량에.. 2024. 1. 23. [발송배전기술사] 중성점 잔류전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중성점 잔류전압에 대한 설명입니다.중성점 잔류전압의 정의 및 개요도, 발생요인, 크기, 영향, 저감대책 순으로 서술해 보겠습니다.[문제] 송전선로에서 발생되는 중성점 잔류전압(Residual Voltag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110회 2교시, 제112회 1교시)[답]1. 중성점 잔류전압(Residual Voltage : En)의 정의 및 개요도 1) 중성점 잔류전압(Residual Voltage : En)의 정의 · 송전선로의 각 상의 정전용량은 연가의 불충분으로 인해 다소간의 차이가 있어 중성점 비접지 방식에서는 중성점에 전위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 전압을 중성점 잔류전압(Residual Voltage)이라 한다. 2) 개.. 2024. 1. 22. [발송배전기술사] 접지계수!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접지계수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접지계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87회 1교시)[답]1. 접지계수의 정의 1) 1선 지락고장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고장점에서의 건전상 대지전압(상전압, Y전압, 영상전압)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의 실효값을 사고제거 후(정상상태)의 선간전압으로 나누어 [%]로 나타낸 값을 접지계수라 한다. 2) 접지계수=1선지락고장중의건전상의전위상승1선지락고장전의선간전압 2. 예) 유효접지계수=1.3Ea√3Ea=0.75=75[%] 즉, 1선 지락고장시 건전상의 전위상승이 고장전 상전압의 .. 2024. 1. 21. [발송배전기술사] NGR(Neutral Ground Reactor : 중성점접지리액터)!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NGR(Neutral Ground Reactor : 중성점접지리액터)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NGR의 설치목적, 적용개소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중성점접지계통에서 NGR(Neutral Ground Reactor : 중성점접지리액터)의 설치목적과 적용개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68회 1교시, 제107회 1교시)[답]1. 개요 1) NGR(Neutral Ground Reactor : 중성점접지리액터)의 정의 · 발전기, 주변압기의 중성점에 설치하여 지락고장전류를 제한하는 장치 2) NGR의 설치위치 · 변압기 2차측 중성점에 설치 2. NGR의 설치목적 1) 1선 지락고장 시 등가회로 2) 기기 및 선로의 절연레벨 경감 : 각상 대지전위 상.. 2024. 1. 20. 이전 1 ··· 39 40 41 4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