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74

[발송배전기술사] 전위강하법(61.8[%] 법칙)!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전위강하법(61.8[%] 법칙)에 대한 문제 풀이입니다.개요, 전위강하법(61.8[%] 법칙), 결론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문제] 접지저항 측정법 중 전위강하법(61.8[%] 법칙)을 증명하시오.(제72회 2교시, 제107회 4교시)[답]1. 개요  · 변전소 접지망과 같은 대규모 접지극의 접지저항 측정법으로는 전위강하법(Fall of Potential Method : 61.8[%]    법칙)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전위강하법(Fall of Potential Method : 61.8[%] 법칙)  1) 반구형 접지극으로 부터 x 만큼 떨어진 곳의 지표면 전위 V(x)는  · $ V(x)= \frac{ \rho I}{2 \pi x}  $[V]  2) 거.. 2025. 1. 14.
[발송배전기술사] Wenner의 4전극법이란?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Wenner의 4전극법에 대한 문제 풀이입니다.개요, Wenner의 4전극법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문제] Wenner의 4전극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요  · 대지고유저항율 측정방법에는 2전극법, Wenner의 4전극법, 간이 측정법 등이 있으나 Wenner의 4전극법이 정확    도가 높고, 측정도 간편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Wenner의 4전극법  · 지표상에 일직선으로 $a[cm]$ 의 간격으로 4개의 전극 $A_{1},  \, \,   P_{1},   \, \,  P_{2},    \, \,  A_{2}$를 배치하고, $A_{1},    \,  A_{2}$극에 전류 $I[A]$를    지중으로 흘린 경우, $ P_{1},    \,.. 2025. 1. 13.
[발송배전기술사] 활선상태에서 전력 Cable의 열화진단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활선상태에서 전력 Cable의 열화진단법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Cable의 열화진행과정, 전력 Cable 의 열화원인과 형태, 전기적인 요인(전압 열화)의 종류 및 특징, 활선상태에서 전력 Cable의 열화진단법, 열화방지대책, 결언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활선상태에서 전력 Cable의 열화진단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90회 2교시, 제96회 4교시, 제110회 3교시, 제123회 4교시)[답]1. 개요  · CV Cable을 지중에 설치한 후 6~8년이 경과하면 열화현상이 발생한다. 2. Cable의 열화 진행과정 3. 전력 Cable의 열화원인과 형태구   분열  화  원   인형   태전기적 요인운전 전압, 과전압, 서지 전류부분방전열화, 전기 T.. 2025. 1. 12.
[발송배전기술사] 사선상태의 Cable 열화진단!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사선상태에서의 Cable 열화진단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Cable의 열화 진행과정, 열화의 원인과 형태, 전압열화의 종류 및 특징, 사선상태의 Cable 열화 진단방법, Cable의 열화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사선상태에서의 Cable 열화진단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60회 2교시, 제62회 4교시, 제117회 1교시)[답]1. 개요  · CV Cable을 지중에 설치한 후 6~8년 정도가 지나면 열화현상이 발생한다. 2. Cable의 열화 진행과정 3. 전력 Cable의 열화원인과 형태구   분열  화  원   인형   태전기적 요인운전 전압, 과전압, 서지 전류부분방전열화, 전기 Tree, 수 Tree열적 요인이상 온도 상승, 열 신축열에 .. 2025. 1. 11.
[발송배전기술사] 지중송전선로 XLPE Sheath유기전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154[kV] 지중송전선로 XLPE Sheath유기전압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154[kV] 지중송전선로 XLPE Sheath유기전압의 발생원인과 저감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74회 3교시, 제83회 1교시, 제98회 3교시, 105회 4교시, 제116회 2교시)[답]1. 개요  · Cable Sheath에 유기되는 전압은 평상시 발생하는 상시Sheath전위와 급준파Surge 침입시 발생하는     이상시Sheath전위가 있다. 2. 상시Sheath전위  1) Cable의 구조  2) 상시Sheath전위의 발생원인      · Cable 도체에 상시전류가 흐르면, Cable의 도체와 Sheath 간에는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상시Sheath         유기전.. 2025. 1. 10.
[발송배전기술사] Off-Set!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Off-Set에 대한 설명입니다.가공선로의 Off-Set, 지중 Cable의 Off-Set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Off-Se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72회 3교시, 제75회 1교시, 제86회 1교시)[답]1. 가공선로의 Off-Set  1) 가공선로의 Off-Set 개념도  2) 가공선로의 Off-Set 정의    · 전선 수직 배치시 상, 중, 하선 상호간의 수평거리의 차  3) 가공선로의 Off-Set 목적    · 착빙설로 인한 전선의 처짐, 착빙설의 탈락으로 인한 전선의 도약(Sleet Jump), Galloping 등에 의한 전선의 단락      사고 방지  4) 가공선로의 Off-Set 적용    · 다설지구의 Off-Set을 크게 한다.  2.. 2025. 1. 9.
[발송배전기술사] 지중송전선로 경과지 선정시 고려사항!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지중송전선로 경과지 선정시 고려사항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지중송전선로 경과지 선정시 고려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요  1) 지중전선로 경과지란 전선로가 지나가는 토지를 말하며,  2) 지중 전선로의 건설비는 굴착비용에 비례하므로,  3) 경과지는 최단거리로 선정하여야 한다. 2. 지중전선로 경과지 선정시 고려사항  1) 장래의 송전계통과 수요분포 동향  2) 지중전선로의 설치, 운전, 보수의 용이성, 안전성  3) 송전선로의 길이  4) 도시계획, 도로의 설계계획, 지하매설물 현황  5) 화학적영향, 고열발생 우려성  6) 지역환경과의 조화  7) 다수조 포설시 송전용량 및 유도장해 영향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지중송전선.. 2025. 1. 8.
[발송배전기술사] 활락!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활락에 대한 설명입니다.활락의 정의, 활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 활락 경감대책, 결언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전력구에 전력 Cable 설치시 활락이 발생하는 원인 및 이의 방지대책을 기술하시오.(제78회 1교시, 제102회 4교시)[답]1. 활락의 정의  1) 전력구내에 Cable 설치시, Cable에 대한 구속력이 작아서,  2) 경사지에서는 Cable이 열신축작용에 의해서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게 되는데 이런현상을 활락이라 한다. 2. 활락에 영향을 주는 요인  · 관로의 경사각, Cable의 길이, 부하변동의 크기, Cable에 가해지는 반항력 등 3. 활락의 경감대책  1) 상단 Stopper 방식     (1) 경사지 상단쪽 Cable에 Stopper를.. 2025. 1. 7.
[발송배전기술사] Snake 부설!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Snake 부설에 대한 설명입니다.Snake 부설의 목적, 부설방법, 특징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Snake 부설의 목적과 부설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시오.(제87회 1교시, 제116회 1교시)[답]1. Snake 부설의 목적  1) 전력구내에 Cable 포설시, Cable에 대한 구속력이 작아서, 열신축량이 커지며,  2) 특히 곡선부에서는 Cable의 신축작용이 집중되어, 심하게 구부러지게 되는데,  3) 이러한 현상을 Free Snake현상이라 하며,  4) 이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Snake 부설을 행한다. 2. Snake 부설방법  1) Snake 부설이란, 전력구내에 Cable을 포설시, Free Snake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2) 마치 뱀이 기.. 2025. 1. 6.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