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기술용어64

[발송배전기술사]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의 정의  · 공급신뢰도란 전력공급서비스 향상의 기본적인 관점에서 고려된 척도로서 「전력공급전원이 어떠한 운전상태라도     항상 전력계통의 소요개소에 적정 전압 및 주파수를 유지하고, 양질의 전력을 무정전으로 수용가에게 공급할 수     있는 확률」이라고 할 수 있다. 2.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의 접속방법에 따른 분류  1) 수·변전 설비의 공급신뢰도를 상정할 경우 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의 사고확률 및 정전시간을 과거의.. 2024. 7. 11.
[발송배전기술사] 고객관점에서의 배전계통 신뢰도지수 4가지!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고객관점에서의 배전계통 신뢰도지수 4가지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SAIFI, CAIFI, SAIDI, CAIDI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고객관점에서의 배전계통 신뢰도지수 4가지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요   · 고객관점에서의 배전계통 신뢰도지수 4가지에는 SAIFI, CAIFI, SAIDI, CAIDI 가 있다. 2. 계통평균정전빈도수지수(SAIFI)  1) SAIFI : System Average Interruption Frequency Index  2) $SAIFI =  \frac{정전을 \,경험한 \,고객수}{계통내의\, 총 \,고객수} = \frac{ \sum   \lambda _{i}  N_{i}  }{ \sum N_{i}  } $   .. 2024. 7. 10.
[발송배전기술사] 직접부하제어(Direct Load Control)의 의의와 필요성!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직접부하제어(Direct Load Control)의 의의와 필요성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직접부하제어(Direct Load Control)의 의의와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시오.[답]1. 직접부하제어(Direct Load Control)의 의의  1) 직접부하제어의 정의     (1) 전력수급안정을 위한 부하관리 프로그램의 하나로서 직접부하제어란 첨두부하 기간이나 기타 시간대에 필요에          의하여 선택된 수용가들의 수요를 제한하는 것이다.     (2) 상기 기간동안 수용가 구내에 있는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일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시스템이 사용한 DSM          의 유형 중 가변부하조성에 해당된다.   2) 직접부하제어 적용대상     (.. 2024. 7. 9.
[발송배전기술사] 수요관리(DSM : Demand System Management)!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수요관리(DSM : Demand System Management)에 대한 문제 풀이입니다.DSM의 개요, 필요성, 특징, 요금제도, 기기의 효율 개선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문제] DSM(Demand System Manageme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  1. 개요    · LM(Load Management : 부하관리)은 부하의 경향을 분석하여 Peak 부하를 억제, 조절하고, 심야 경부하를 조정하      여 부하의 평준화를 도모하고, 사용의 합리화를 기하여 설비의 효율성을 제고, 투자비 및 전력원가 절감을 위한 것      으로 DSM과 SSM으로 분류된다.     1) 수요관리(DSM : Demand System Management)    .. 2024. 7. 8.
[발송배전기술사] TT(Terra Terra) 계통 접지방식과 IT(Insulation Terra) 계통 접지방식!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TT(Terra Terra) 계통 접지방식과 IT(Insulation Terra) 계통 접지방식에 대한 설명입니다.TT(Terra Terra) 계통 접지방식,  IT(Insulation Terra) 계통 접지방식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IEC규격의 배전계통 접지방식 중 TT(Terra Terra) 계통 접지방식과 IT(Insulation Terra) 계통 접지방식을 설명하시오.[답]1. TT(Terra Terra) 계통 접지방식  1) 전력공급측은 1개소 이상에서 계통접지하고, 설비의 노출도전성부분은 계통접지와 전기적으로 독립된 접지(기기      접지)한다.  2) 이 계통방식에서는 지락은 과전류차단기 또는 누전차단기로 보호하며, 이 경우 기기 프레임의 대.. 2024. 7. 7.
[발송배전기술사] TN(Terra Neutral) 계통 접지방식!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TN(Terra Neutral) 계통 접지방식에 대한 설명입니다.표시기호의 정의, TN(Terra Neutral) 계통 접지방식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IEC규격의 배전계통 접지방식 중 TN(Terra Neutral) 계통 접지방식을 설명하시오.[답]1. 표시기호의 정의순  번기  호내  용비  고첫  째 T(Terra) : 접지전원과 대지관계 표시대지의 1점에 직접접지계통접지 I(Insulation) : 절연대지로 부터 완전히 절연하거나 임피던스를 통해 대지로 1점에서  직접접지 둘  째 T(Terra) : 접지설비기기 노출도전부와 대지관계 표시노출도전부를 대지에 접지기기접지 N(Neutral)노출도전부를 전원에 직접 접속(일반적으로 중성선 이용) 셋  째.. 2024. 7. 6.
[발송배전기술사] 공통접지방식의 장·단점!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공통접지방식의 장·단점에 대한 설명입니다.접지방식의 형태, 독립접지, 공통접지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독립접지방식에 비해 공통접지방식의 장·단점을 각각 설명하시오.[답]1. 접지방식의 형태  1) 하나의 건축물안이나 구내에 접지를 해야할 설비기기가 여러개 있는 경우의 접지방식으로는 그림과 같이 4종류의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1) 개개를 독립해서 접지한다.     (2) 독립적으로 접지한 접지선을 연접한다.     (3) 공용으로 접지한다.     (4) 건축 구조체의 철골, 철근부분에 접지선을 연결한다.  2) 이들 접지형태를 두 가지로 대별하면 (1)은 독립접지, (2), (3), (4)는 공통접지로 나눌 수 있다. 2. 독립접지(Is.. 2024. 7. 5.
[발송배전기술사]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현상!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현상에 대한 설명입니다.개념,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현상 고찰,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현상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해 보겠습니다.[문제]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념  · 유도전동기와 콘덴서가 개폐기의 부하 측에 직결되는 경우 개폐기를 개방한 후의 전동기 모선전압이 「0」이 되지    않고 이상 상승하거나 전압이 자연 감소하지 않는 현상 2. 유도전동기의 자기여자현상 고찰  1) 자기여자 발생이 없는 경우 : $  I_{C1}      (1) 전동기 무부하 여자용량이 콘덴서 용량보다 큰 경우    (2) 전원 개방 후 전동기는 콘덴서의 충전전류에 의해 여자되어 유도발전기로 작용    (3) 유도발전기는 입력이 없어 회전수.. 2024. 7. 4.
[발송배전기술사] 절연협조!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절연협조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절연의 합리화 방안, 적용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절연협조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개요  1) 절연협조의 정의    · 어떤 계통에서 발생하는 이상전압과 피뢰기에 의해 낮추어진 전압(제한전압), 그리고 그 계통에 사용되는 기기의      절연강도간의 관계가 조화를 이루도록 절연설계의 합리화를 꾀하는 것    ☆ ANCI : 예상되는 이상전압, 과전압, 보호기기의 특성과 전기적 설비에 대한 절연강도와의 적당한 관계를 검토, 결정   ☆ IEC : 발·변전소의 기기나 송·배전선로 등 전력계통 전체의 절연설계를 보호장치와 관련시켜 합리화를 꾀하고,                 안정성과 경제성을 도모하는 것  2) 변압기의 .. 2024. 7. 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