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에 대한 설명입니다.
[문제]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의 정의
· 공급신뢰도란 전력공급서비스 향상의 기본적인 관점에서 고려된 척도로서 「전력공급전원이 어떠한 운전상태라도
항상 전력계통의 소요개소에 적정 전압 및 주파수를 유지하고, 양질의 전력을 무정전으로 수용가에게 공급할 수
있는 확률」이라고 할 수 있다.
2.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의 접속방법에 따른 분류
1) 수·변전 설비의 공급신뢰도를 상정할 경우 설비를 구성하고 있는 각 요소의 사고확률 및 정전시간을 과거의 실적
으로 구해야 하는데 신뢰도의 검사대상으로 되는 것은 우발사고의 기본이 되는 사고정지이다.
2) 지금 수·변전 설비의 각 Data로서 각 구성설비의 사고발생률($\lambda $), 평균정전시간(S)를 사용, 아래식으로
구한다.
3) 각 설비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 $ \lambda _{s} = \lambda _{1}+\lambda _{2}$, · $ \lambda _{s} S_{s}= \lambda _{1} S_{1}+\lambda _{2} S_{2}$, · $ S_{s}= \frac{\lambda _{1} S_{1}+\lambda _{2} S_{2}}{ \lambda _{1}+ \lambda _{2}} $
4) 각 설비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
· $ \lambda _{p} = \lambda _{1}\lambda _{2}(S _{1}+S _{2})$, · $ \lambda _{p} S _{p}= (\lambda _{1} S_{1})·(\lambda _{2} S_{2})$, · $ S_{p}= \frac{\lambda _{1} S_{1}·\lambda _{2} S_{2}}{ \lambda _{1} \lambda _{2}(S_{1}+S_{2})} = \frac{ S_{1}· S_{2}}{ S_{1}+S_{2}} $
· $ S_{1} =S_{2}$ 라 하면 $ S_{p} = \frac{ S_{1}}{2}$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로 나올 법한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기술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의 3상태 및 신뢰도 제어! (8) | 2024.07.13 |
---|---|
[발송배전기술사] 신개념 전력품질! (11) | 2024.07.12 |
[발송배전기술사] 고객관점에서의 배전계통 신뢰도지수 4가지! (180) | 2024.07.10 |
[발송배전기술사] 직접부하제어(Direct Load Control)의 의의와 필요성! (265) | 2024.07.09 |
[발송배전기술사] 수요관리(DSM : Demand System Management)! (9) | 2024.07.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