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SSR(Sub Synchronous Resonance : 차동기 공진)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SSR의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SSR의 영향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SSR(Sub Synchronous Resonance : 차동기 공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 전력계통의 정격주파수 이하의 단일 혹은 복수 주파수에서 어떤 발전기 한대가 계통의 나머지 System과 Energy를
상호교환하는 상태가 지속되는 상황을 차동기 공진이라 하며, 특히 직렬보상을 하고 있는 계통에서 주로 발생하고
저주파 축 비틀림 상태의 공진작용을 말한다.
1) 자연동요모드(Natural Modes of Oscillation)
· 전력계통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
2) 강제동요모드(Forced Modes of Oscillation)
· 특정설비와 제어계통간에 이루어짐
2. SSR의 발생원인 및 방지대책
1) 수차발전기의 차동기 공진
(1) 발생원인
① 불평형 고장시(1선지락, 2선지락, 선간단락) 전압, 전류파형은 큰 왜형파가 되고
② 이때 직렬공진이 발생하면 고조파 이상전압 발생(SSR)
(2) 방지대책
① 수차발전기의 정격속도는 임계속도 이하일 것(80 ~ 85[%] 정도유지)
② 제동권선 사용
③ PSS 설치
2) 터빈발전기의 차동기 공진
(1) 발생원인
① 불평형 전류가 흐를때 발전기 고정자에는 역상전류가 흐른다.
② 회전자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자계 발생
③ 계통주파수의 2배를 가진 제동전류가 통전됨
④ 이경우 직렬공진이 발생하면 고조파 이상전압 발생(SSR)
(2) 방지대책
① 화력발전기의 정격속도는 임계속도 이상일 것(120 ~ 125[%] 정도유지)
② 제동권선 설치(Key와 지지환의 발열 흡수)
③ 역상계전기 설치(발전기 즉시 계통에서 분리)
3) 송전선 직렬콘덴서에 의한 SSR발생
(1) 발생원인
· $P= \frac{ V_{s}· V_{r} }{X} sin\, \delta $ → P 증가를 위해 $X_{C} $ 투입, $X_{L} =X_{C} $일 때 주파수의 동요현상으로 SSR발생
(2) 방지대책
① 송전선로에 FACTS(UPFC, SSSC, STATCOM) 설치
② PSS 설치시 TCSC 작동으로 인한 SSR 발생 감소
3. SSR의 영향
1) 발전기 축 비틀림현상 발생으로 기기파괴
2) $P= \frac{ V_{s}· V_{r} }{X _{L}-X _{C} } sin\, \delta$ · $X_{L} =X_{C}$가 되어 P 증대로 발전기 가능출력범위 초과하여 과부하 현상 발생
3) 발전기의 부제동현상 발생
4) 전력계통의 안정도 급격히 저하
5) 발전기 난조현상 : 국부과열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로 나올 법한SSR(Sub Synchronous Resonance : 차동기 공진)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기술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GIS(Gas Insulated Switchgear) 내의 고장원인 및 진단기술! (11) | 2024.06.22 |
---|---|
[발송배전기술사] 철공진(Ferro Resonance)? (9) | 2024.06.21 |
[발송배전기술사] LFO(Low Frequency Oscillation : 저주파 동요)! (10) | 2024.06.19 |
[발송배전기술사] 감전피해 위험도 인자 4가지! (66) | 2024.06.18 |
[발송배전기술사] 고조파! (15) | 2024.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