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기술용어

[발송배전기술사] 감전피해 위험도 인자 4가지!

by 송죽LJH1111 2024. 6. 18.
728x90
반응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감전피해 위험도 인자 4가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충전전류의 크기, 통전경로, 통전시간, 전원의 종류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인체가 전기설비에 접촉하여 감전재해가 발생하였을 때, 감전피해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요인 4가지를 서술하시오.

[답]

1. 개요

  · 감전피해의 위험도를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충전전류의 크기, 통전경로, 통전시간, 전원의 종류를 들 수 있다.

 

2. 충전전류의 크기

  · 인체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위험성이 결정된다.

 

3. 통전경로

  1) 같은 크기의 전류값이라 하여도 통전경로에 따라 위험성이 다르다.

  2) 즉, 사람의 심장은 왼쪽에 있으므로 왼손을 통하여 감전되는 경우가 더 위험하다.

  

4. 통전시간

  1) 심실세동전류는 통전시간에 관계되며 시간이 길수록 위험해진다.

  2) 심실세동전류 $I=  \frac{165}{ \sqrt{t} } [mA]$          · t[set] : 통전시간

 

    * 심실세동전류(current of ventriculas fibrillation ,  )

      통전전류가 증가해서 심장에 흐르는 전류가 어떤 값에 도달하면, 심장이 경련을 일으키며, 정상 맥동(脈動)이 뛰지 

      않게 되어 혈액를 내 보내는 심실이 세동(細動)을 일으키게 된다. 이 전류를 심실세동전류라고 하며, 이 상태는

      대단히 위험해서 사망하는 일이 많다.

 

5. 전원의 종류

  · 전압의 크기가 동일하여도 교류가 직류보다 더 위험하다.(직류 = $\frac{1}{ \sqrt{2} }  \times $ 교류의 최대값)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로 나올 법한 감전피해 위험도 인자 4가지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