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송전공학90 [발송배전기술사] 중거리 송전선로의 4단자 정수!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중거리 송전선로의 4단자 정수에 대한 설명입니다.중거리 송전선로의 개요, T형 회로, π형 회로, 결언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중거리 송전선로의 4단자 정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78회 2교시, 제111회 4교시, 제114회 4교시)[답]1. 중거리 송전선로의 개요 1) 중거리 송전선로는 R, L, C 집중정수회로로 해석 2) 30~100[km] 정도의 송전선로를 중거리 송전선로 취급 3) T형 회로 · 어드미턴스 Y를 중앙에 일괄 집중, 임피던스 Z를 2등분해서 선로 양단에 배치 4) π형 회로 · 어드미턴스 Y를 2등분해서 선로 양단에, 임피던스 Z를 중앙에 일괄 집중 배치 2. T형 회로 1) 등가회로 및 Vect.. 2025. 1. 28. [발송배전기술사] 단거리 송전선로의 4단자 정수!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단거리 송전선로의 4단자 정수에 대한 설명입니다.단거리 송전선로의 개요, 등가회로 및 Vector도, 4단자 정수, 알수있는 사항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단거리 송전선로의 4단자 정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101회 1교시)[답]1. 단거리 송전선로의 개요 1) 단거리 송전선로는 R, L 집중정수회로로 해석 2) 30[km] 이하의 송전선로를 단거리 송전선로로 취급 2. 단거리 송전선로의 등가회로 및 Vector도3. 송·수전단 전압, 전류 관계식(4단자 정수)4. 단거리 송전선로로 알 수 있는 사항 1) 송전단 전압 (1) $ | \dot{ E_{s} } | = \sqrt{( E_{r}+ I_{r}\,R\,cos \theta + I_.. 2025. 1. 27. [발송배전기술사] Corona!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Corona에 대한 풀이입니다.Corona의 정의, Corona 임계전압과 발생 원리, Corona 장점, Corona 장해, Corona 저감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초고압 송전선로 Corona 방전 시 임계전압과 Corona 장해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107회 2교시)[답]1. Corona의 정의 · Corona란 공기의 절연이 부분적으로 파괴되어 낮은 소리와 엷은 빛을 띠면서 방전하는 현상을 말하는데, 불꽃방전 (섬락 : Flash Over)일보 직전의 국부적인 방전현상이다. 2. Corona 임계전압(E0)과 발생 원리 1) Corona 임계전압(E0) (1) 「공기 중에서 임의의 폐곡면 S를 통과.. 2025. 1. 26. [발송배전기술사] 다도체가 등가 단도체에 비해 갖는 장·단점!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다도체가 등가 단도체에 비해 갖는 장·단점에 대한 설명입니다.다도체가 등가 단도체에 비해 갖는 장점, 단점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다도체가 등가 단도체에 비해 갖는 장·단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98회 1교시)[답]1. 다도체의 정의 · 다도체란, 동상의 가공전선을 여러개의 소도체로 나누어서 가선한 것을 말한다. 2. 다도체가 등가 단도체에 비해 갖는 장점 1) L감소, C증가로 리액턴스(X=XL−XC) 감소 (1) 인덕턴스(Ln)=0.05n+0.4605log10Dre[mH/km] · n : 소도체수 · $r_{e} .. 2025. 1. 25. [발송배전기술사]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에 대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 비교!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에 대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의 비교 설명입니다.[문제]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에 대하여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을 비교 설명하시오.(제98회 1교시)[답]1.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의 인덕턴스 비교 1) 가공 송전선에서의 인덕턴스 (1) 평상 시 또는 단락 사고 시에는 작용 인덕턴스(L) 사용 · L= 0.05+0.4605log _{10} \frac{D}{r} [mH/km] ≒ 1.3 [mH/km] (실측값) · r[m] : 도체의 반지름 · D[m] : 선간 거리 · 비 정삼각형 배열 시 등가 선간 거리(D)는 $D = .. 2025. 1. 24. [발송배전기술사]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의 인덕턴스 종류 3가지!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의 인덕턴스 종류 3가지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의 인덕턴스 종류 3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114회 4교시)[답]1. 개요 · 3상3선식 송전선로에서의 인덕턴스 종류로는 ① 대지귀로의 자기 인덕턴스(L_{e}), ② 대지귀로의 상호 인덕턴스 (L_{e }'), ③ 작용 인덕턴스(L) 등 3가지가 있다. 2. 대지귀로의 자기 인덕턴스(L_{e}) 1) 그림 (a)에서 보인 것 처럼, 가령 a선에만 전류 \dot{ I_{a} }를 흘렸을 경우의 자기 인덕턴스를 말한다. 2) L_{e} 값은 실측에 의해서 구하도록 하고 있다. 즉, 그림 (a)에서 우선 a선의 수전단.. 2025. 1. 23. [발송배전기술사] 접지저항 저감재 시공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접지저항 저감재 시공법에 대한 문제 풀이입니다.개요, 유입법, 체류조법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문제] 접지저항 저감재의 시공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 1. 개요 · 접지저항 저감재 시공법에는 유입법(타입법, 보링법, 수반법, 구법)과 체류조법 등이 있다. 2. 유입법 1) 타입법 · 막대모양의 전극일 경우, 타입할 구멍에 전극을 넣고, 저감재를 유입 하는 방식 2) 보링법 · 선 모양이나 띠 모양의 전극의 경우, 보링공법으로 구멍을 뚫어 전극을 설치하고, 저감재를 유입하는 방식 3) 수반법 · 전극 주변 대지에 저감재를 뿌리는 방식 4) 구법 · .. 2025. 1. 22. [발송배전기술사] 단심 Cable의 Sheath 접지 이유!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단심 Cable의 Sheath 접지 이유에 대한 설명입니다. 단심 Cable의 구조 및 금속Sheath의 기능, 금속Sheath의 상시유기전압, 단심 Cable의 Sheath 접지 이유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단심 Cable의 Sheath를 접지하는 이유를 설명하시오.(제95회 4교시)[답]1. 단심 Cable의 구조 및 금속Sheath 기능 1) 단심 Cable의 구조 2) 금속Sheath의 기능 (1) 절연체의 보호 - 내부 (2) 절연유의 압력유지 (3) 대기중 습기의 절연체에의 혼입방지 (4) 고장전류의 귀로통로 (5) 전기적 차폐효과 2. 금속Sheath의 상시유기전압 · 다수도체의 전류로부터 전자유도작용에 의해 금속.. 2025. 1. 21. [발송배전기술사] 고장점 정밀 탐지법(Pin Pointing)!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고장점 정밀 탐지법(Pin Pointing)에 대한 설명입니다.고장점 정밀 탐지법(Pin Pointing)의 개념, 음향법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지중 Cable 고장점 탐지법 중 고장점 정밀 탐지법(Pin Point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고장점 정밀 탐지법(Pin Pointing)의 개념 1) 고장점 정밀 탐지법(Pin Pointing)은 Murray Loop Method, Pulse Radar Method, Arc 반사법, De Cay Method 등으로 개략적인 지중 Cable 고장점까지의 거리를 측정한 후, 정확한 위치를 찾기 위한 방법이다. 2) 고장점 정밀 탐지법(Pin Pointing)에는 Surge Coil Met.. 2025. 1. 20.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