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100%
본문 바로가기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송전공학

[발송배전기술사]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에 대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 비교!

by 송죽LJH1111 2025. 1. 24.
728x90
반응형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에 대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의 비교 설명입니다.

[문제]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에 대하여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을 비교 설명하시오.(제98회 1교시)

[답]

1.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의 인덕턴스 비교

  1) 가공 송전선에서의 인덕턴스

     (1) 평상 시 또는 단락 사고 시에는 작용 인덕턴스(L) 사용

        · L=0.05+0.4605log10Dr[mH/km]1.3[mH/km]()

           · r[m] : 도체의 반지름                 · D[m] : 선간 거리  

           · 비 정삼각형 배열 시 등가 선간 거리(D)는 D=3DabDbcDca[m] 사용

     (2) 지락 사고 시에는 대지귀로의 자기 인덕턴스(Le) 사용

        · Le=0.1+0.4605log102Her[mH/km]=Ea2πfIa2.4[mH/km]()

  2) 지중 Cable에서의 인덕턴스

     (1) 심선 1가닥의 인덕턴스는 외장(방식층) 및 연피(Sheath)를 무시하면 가공 송전선과 같다.

        · L=0.05+0.4605log10Dr[mH/km]0.41[mH/km]()

           · r[m] : 도체의 반지름                 · D[m] : 도체 중심 간의 거리  

     (2) 지중 Cable은 선간 거리(D)가 가공 송전선에 비하여 매우 적으므로, 인덕턴스가 가공 송전선의 약 13 정도

          (≒ 0.41[mH/km])이다.

 

2.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의 정전용량 비교

  1) 가공 송전선에서의 정전용량

     (1) 대지(자기) 정전용량(Cs : Self Capacitance)

        · 대지 충전전류 계산 시 또는 1선 지락 고장 시에 사용

        · Cs=0.02413log108h3rD2 [μF/km]   → 1회선 가공 선로 : 0.005[μF/km],    2회선 가공 선로 : 0.004[μF/km]

     (2) 선간(상호) 정전용량(Cm : Mutual Capacitance)

        · Cm=0.02413log102hDlog10Drlog108h3rD2[μF/km]

     (3) 작용 정전용량(Cn : Working Capacitance)

        · 1선당 작용 정전용량 Cn=Cs+3Cm

        · Cn=0.02413log10Dr=0.009[μF/km]()

  2) 지중 Cable에서의 정전용량

     (1) 1심 Cable의 작용 정전용량

        · Cn=0.02413εslog10Rr[μF/km]

           · r[m] : 도체의 반지름                 · R[m] : 연피 안반지름(절연 반지름)

           · εs : 비 유전율(XLPE Cable : 2.3, OF Cable : 3.4)

     (2) 다심 Cable의 정전용량

        · C=0.0556εsnG[μF/km]

           · n : 심선수(3심이면 n=3)                 · G : 형상 계수

     (3) 지중 Cable에서의 정전용량 개략 값 : 0.3~1.7[μF/km]

     (4) 지중 Cable은 비 유전율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절연 반지름(R[m])이 선간 거리(D[m])에 비하여 매우 작으므로

          정전용량이 가공 송전선의 약 30배 정도가 된다.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에 대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을 비교 설명해보았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