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전력계통의 3상태 및 신뢰도 제어에 대한 설명입니다.
신뢰도 제어의 정의, 전력계통의 3상태, 신뢰도 제어의 향후 과제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전력계통의 3상태 및 신뢰도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신뢰도 제어(Security Control)의 정의
1) 전력계통에 외란이 발생하는 경우를 대상으로 전력계통의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실시하는 여러가지 제어
2) 공급신뢰도를 말함. 전압, 주파수 등 전력계통 사고영향 최소화
3) 평상시 : 정전의 빈도, 규모, 시간 등 가능한 적게하는 예방제어
4) 긴급시 : 사고발생시 계통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긴급제어
5) 복구시 : 복구를 위한 모든 복구제어
2. 전력계통의 3상태
1) 정상상태(예방제어)
(1) 예방제어의 정의
· 모든 수용가가 정격주파수, 규정전압의 전력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
(2) 정상상태의 신뢰도제어 목적
① 전압, 주파수를 정격상태로 유지
② 예측사고 발생시 사고파급을 최소화하기 위한 계통구성의 적정화
③ 발전기 출력 및 조류조정 등의 최적화
(3) 정상시의 제어
① 계통운용 계획상의 신뢰도 향상대책
· 설비정지계획, 계통분리점 선택
· 운용 목표치 선정, 릴레이 정정, 변경 등
② 상정사고에 대한 사고파급 예상제어
· 조류조정, 운전예비력 배분
· 계통구성 변경, 최적제어량 설정
2) 긴급상태(긴급제어)
(1) 긴급제어의 정의
· 사고 또는 이상상태에 대해 사고가 확대 발전할 수 있는 상태
(2) 긴급상태의 신뢰도제어 목적
① 사고파급 확대를 긴급하게 억제
② 공급지장을 최소화
(3) 긴급시의 제어
① 주보호, 후비보호
② 계통안정화제어(PSS)
· 사고전 예측계산에 기초한 고속도제어 등
③ 계통장해 경감제어
· 주파수 저하 → 부하제한, 발전조정 등
3) 복구상태(복구제어)
(1) 복구제어의 정의
· 긴급시 제어 결과에 의해 일단 계통은 정상화된 상태
(2) 복구상태의 신뢰도제어 목적
① 가능한한 신속하게 공급재개
② 정상상태로 복귀
(3) 복구시의 제어
① 공급지장 경감제어
· 부하절환, 발전조정, 예비력 설비투입 등
② 전원복구, 송전선 복구, 부하투입
3. 신뢰도 제어의 향후 과제
· 경제성과 신뢰성의 협조제어 필요
1) 신뢰도 정책기준 범위 안에서 경제운영
2) 신뢰도 적당한 평가에 의해 경제환산하여 경제계산의 한 요소로 취급하여 운용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로 나올 법한 전력계통의 3상태 및 신뢰도 제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기술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에서 예비력의 의미와 종류! (240) | 2024.07.15 |
---|---|
[발송배전기술사] EMS(Energy Management System)란? (14) | 2024.07.14 |
[발송배전기술사] 신개념 전력품질! (11) | 2024.07.12 |
[발송배전기술사] 공급신뢰도(Supply of Reliability)! (212) | 2024.07.11 |
[발송배전기술사] 고객관점에서의 배전계통 신뢰도지수 4가지! (180) | 2024.07.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