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공학 문제 중 열병합발전에 대한 설명입니다.
열병합발전의 개요, 종류, 장점, 단점, 열병합발전의과 일반화력의 비교, 소형 열병합발전의 용도 및 특징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열병합발전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86회 1교시)
[답]
1. 열병합발전의 개요
· 하나의 에너지원으로부터 열과 전기 등 두가지 이상의 에너지를 얻는 방식
2. 열병합발전의 종류
1) 열에너지 이용에 따른 분류

(1) Topping Cycle
· 연료를 연소시켜 생성된 증기로 전력을 먼저 생산하고,
그 배열로 작업용 증기, 난방, 급탕으로 이용

(2) Bottoming Cycle
· 연료를 연소시켜 생성된 고온의 열을 프레스용으로 이용
하고, 그 배열로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을 구동, 전력생산
2) 발전형식에 따른 분류
(1) 증기터빈방식

① 배압터빈
· System이 간단
· 냉각수가 필요 없음
· 효율이 높고 경제적임

② 추기배압터빈
· 2종류 이상의 증기가 필요한 경우
· System Control 이 복잡
· 열부하변동이 커서 설비이용률 저하

③ 추기복수터빈
· 대량의 냉각수 필요
· 기존 발전소 개조에 유리
· 열부하변동에 대한 적응성 양호

(2) 가스터빈방식
① 500[˚C] 이상인 가스터빈의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HRSG에서 증기발생, 열공급
② 전력 사용량(0.4) < 열 사용량(0.6)
(3) 복합Cycle방식
① 가스터빈과 증기터빈을 조합하여 운용
② 일반화력에 비해 초기 투자비 낮고, 열효율이 높다.

(4) 디젤엔진방식
① 엔진 냉각수를 온수로 사용가능
② 연료는 저유황유, 경유 사용
3. 열병합발전의 장점
1) 에너지 이용효율 증대 : 일반화력 38[%] → 열병합 70[%] 이상
2) 발전단가 저렴
3) 지역난방 공해감소
4) 수요지부근 설치가능(송·배전 손실 저감)
5) 생산성 증대(양질의 증기와 전기공급)
6) 설치공사기간이 짧다.
4. 열병합발전의 단점
1) 기기효율 및 신뢰도향상 필요
2) 관련 제어System 개발필요(연계)
3) 진동, 소음대책 필요
4) 공급배관, 건설비 등 선행투자비가 크다.
5) 열전비가 0.6 이상일 것
6) 부하율이 높을 것
7) 수요규모가 클 것
5. 열병합발전의과 일반화력의 비교
열병합발전 | 일반화력발전 | |
용 도 | 전력 + 증기생산 | 순수 전력생산 |
효 율 | 70[%] 이상 (전력25[%], 증기 48[%]) |
38[%] 전력 |
용 량 | 소용량 | 대용량 |
건 설 공 기 | 1~3년 | 5~8년 |
6. 소형 열병합발전의 용도 및 특징
종 류 | 엔진 열병합발전 | TBN 열병합발전 |
원동기 | Engine | Turbine |
용도 | 백화점, Hotel | 대형건물, 사무실 |
특징 | 1. 고효율 전력 생산 2. 엔진 냉각수를 온수로 사용 가능 3. 연료는 저유황이나 경유사용 가능 4. 환경공해가 발생됨 5. 소용량이므로 TBN방식에 비해 종합 열효율이 낮다. |
1. 고품질 전력생산 2. 전력사용 < 열사용 3. 공사기간이 짧고, 운전간편 4. 천연가스 사용시 환경공해가 거의 없다. 5. 공기량 제어로 열전비조정이 가능 6. 엔진방식보다 종합 열효율이 높다. |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열병합발전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발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복합발전! (99) | 2024.11.13 |
---|---|
[발송배전기술사] 민간용 열병합 발전 System에 사용되는 원동기 3종류! (298) | 2024.11.12 |
[발송배전기술사] Micro Gas Turbine! (53) | 2024.11.10 |
[발송배전기술사] 재열기와 과열기! (330) | 2024.11.09 |
[발송배전기술사] 화력발전소의 재열·재생 Cycle! (93) | 2024.11.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