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송전용량의 개략계산법에 대한 문제 풀이입니다.
송전용량의 정의, 고유부하법, 송전용량 계수법, Still의 식 순으로 알아보겠습니다.

[문제] 송전용량의 개략계산법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114회 1교시)
[답]
1. 개요
1) 송전용량의 정의
송전용량이란 송전선로에 전력을 전송함에 있어서 경제적, 기술적인 측면에서 공급 가능한 최대전력을 말하며,
발전기나 변압기 용량처럼 정격화 하기는 어렵다.
2) 송전용량의 개략적인 계산법에는 고유 부하법, 송전용량 계수법, Still의 식 등이 있다.
2. 고유부하법
1) 수전단을 선로의 특성임피던스와 같은 크기의 임피던스로 단락한 상태에서의 수전전력
· P=V2r˙Zw=V2r√LC[MW/회선]=SIL
· P : 고유송전용량(SIL : Surge Impedance Loading)
· ˙Zw [Ω] : 선로의 특성임피던스
· Vr[kV] : 수전단 선간전압
2) 특성
(1) 장거리 송전선로에서 송전용량의 개략적인 산출법
(2) 복도체로 하면, L이 20~30[%] 감소, C는 20~30[%] 증대되므로, Zw가 작아져 고유송전용량이 커진다.
(3) 송전거리 480[km](=300[mile]) 기준 시 최대송전용량(Pmax)은
· Pmax=SIL·√480L·N [MW] · L[km] : 선로 긍장 · N : 회선수
3. 송전용량계수법
1) 전압의 크기와 선로의 길이를 고려한 계산법
· Pr=k · V2rl [kW]
· Pr [kW] : 수전단 3상 전력 · Vr [kV] : 수전단 선간전압 · l[km] : 선로긍장 · k : 송전용량계수
2) 송전용량계수(k)
· 선로긍장 400[km] 이하 장거리 송전선로의 송전용량계수(k)
R/X 비 | 전압계급(호) | 송전용량계수(k) |
0.4~0.6 | 60 | 600 |
0.2~0.4 | 100 | 800 |
0.2 이하 | 140 | 1,200 |
3) 특성
· 장거리 송전선로에서 송전전력의 개략적인 산출법
4. Still의 식
1) 경제적인 송전전압[kV]의 개략값을 구하기 위한 실험식
· V[kV]=5.5√0.6l[km]+P[kW]100
· V [kV] : 송전전압 · l[km] : 송전거리 · P [kW] : 송전전력
2) 특성
· 송전전압의 크기와 송전거리를 고려한 중거리 송전선로의 송전용량 개략계산법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시험에서 나올법한 문제인 송전용량의 개략계산법에 대해서 공부해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송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Surge Impedance(특성 임피던스)! (33) | 2025.02.11 |
---|---|
[발솔배전기술사] 전력 Cable의 손실! (31) | 2025.02.10 |
[발송배전기술사] 송전용량의 증대방안! (33) | 2025.02.08 |
[발송배전기술사] 송전선로 1회선당 전력공급 허용용량 및 발전소 연결시 전압별 용량선정! (232) | 2025.02.07 |
[발송배전기술사] 장거리 송전선로 송전용량 결정시 고려사항! (38) | 2025.02.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