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의 인덕턴스 종류 3가지에 대한 설명입니다.

[문제]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의 인덕턴스 종류 3가지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114회 4교시)
[답]
1. 개요
· 3상3선식 송전선로에서의 인덕턴스 종류로는 ① 대지귀로의 자기 인덕턴스(Le), ② 대지귀로의 상호 인덕턴스
(L′e), ③ 작용 인덕턴스(L) 등 3가지가 있다.
2. 대지귀로의 자기 인덕턴스(Le)

1) 그림 (a)에서 보인 것 처럼, 가령 a선에만 전류 ˙Ia를
흘렸을 경우의 자기 인덕턴스를 말한다.
2) Le 값은 실측에 의해서 구하도록 하고 있다.
즉, 그림 (a)에서 우선 a선의 수전단을 접지하고,
a선에만 전류 ˙Ia를 흘려 주었을 경우, a선 주위에 얼마만한
자속에 의한 Le가 발생하는가 하는 것은 실측 장소를 여러군데로 옮겨 잡아서 Ia와 Ea를 측정하여
EaIa=2πfLe, ∴L_{e} = \frac{E_{a} }{2 \pi f I_{a} } ≒ 2.4[mH/km] 로 구하고 있다.
3. 대지귀로의 상호 인덕턴스(L_{e}' )

1) 그림 (b)에서 보인 것 처럼, 가령 a선에만 전류 \dot{ I_{a} }를
흘렸을 경우, a선과 b선 및 c선과의 상호 인덕턴스를
말한다.

2) 그림 (c)처럼 \dot{ I_{a} }를 흘려서 L_{e}를 실측하면서,
동시에 b선의 유도전압(\dot{ V_{m} })도 측정해서 2선간의
상호 인덕턴스(L_{e}' )를 다음 식 처럼 구하고 있다.
· \frac{ V_{m} }{ I_{a} } =2 \pi f L_{e} ' ∴ L_{e} ' = \frac{ V_{m} }{2 \pi f I_{a} } ≒ 1.1 [mH/km]
※ 송전선 계산 시 무조건 이 값을 쓰도록 하고 있다.
4. 작용 인덕턴스(L)

1) 작용 인덕턴스(L)는 송전선에만 대칭 3상 교류가 흐르
고, 대지전류는 0인 경우의 1선당 인덕턴스를 말한다.
2) 그림 (d)에서 보인 것 처럼, a선의 작용 인덕턴스는
· L=( \dot{ I_{a} }에 의한 L_{e})+ ( \dot{ I_{b} }에 의한 L_{e} ' )
+ ( \dot{ I_{c} }에 의한 L_{e } ')
※ L에 의해서 송전선로에 전압강하가 생긴다.
3) \dot{ I_{a} }, \dot{ I_{b} }, \dot{ I_{c} }는 평형 3상 교류이므로 \dot{ I_{a} } +\dot{ I_{b} }+\dot{ I_{c} }=0 따라서, 대지에 흐르는 전류는 0이 된다.
∴ \dot{ I_{a} }= -(\dot{ I_{b} }+\dot{ I_{c} })

4) 작용 인덕턴스(L)는
· L=L_{e}- L_{e} ' ≒ 2.4-1.1=1.3[mH/km]
5) 만일 3상의 전류가 불평형으로 되었을 경우에는 이 작용 인덕턴스를 구하기가 어려워진다.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3상 3선식 송전선로에서의 인덕턴스 종류 3가지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송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다도체가 등가 단도체에 비해 갖는 장·단점! (27) | 2025.01.25 |
---|---|
[발송배전기술사] 가공 송전선과 지중 Cable에 대한 인덕턴스와 정전용량 비교! (29) | 2025.01.24 |
[발송배전기술사] 접지저항 저감재 시공법! (23) | 2025.01.22 |
[발송배전기술사] 단심 Cable의 Sheath 접지 이유! (124) | 2025.01.21 |
[발송배전기술사] 고장점 정밀 탐지법(Pin Pointing)! (28) | 2025.0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