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공학 문제 중 발전기 가능출력곡선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발전기 운전영역 및 근거식, 발전기 운전제한곡선, 수차발전기와 터빈발전기의 가능출력곡선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발전기 가능출력곡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1) 터빈발전기를 구성하는 도체, 절연물, 기타 구조물에는 정해진 온도상승 한도가 있어 운전은 이 범위내로 제한된다.
2) 따라서 발전기를 운전하는 경우 각기 운전조건에 따라 열적영향개소가 달라지므로 이를 표시한 것을 가능출력곡선
이라 한다.
2. 발전기 운전영역 및 근거식
1)

2) 위상각 안정도 한계곡선

3) 정태안정도 한계식
· ˙W=P+jQ=VI∗ → P2+[Q−12(1xl−1xd)V2]2=[12(1xl+1xd)V2]2
4) 단락비(SCR) : Ks=1Xd
5) 내부단락용량
· Pm=V2Xd=1Xd×V2=Ks×V2=Ks (정격전압 V=1.0[pu]일 경우)
6) 외부(계통측) 단락용량
· S=V2Xl=1Xl (정격전압 V=1.0[pu]일 경우)
3. 발전기 운전제한곡선

1) 전기자권선 과열에 의한 한계 → ①곡선
(1) 발전기출력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
(2) 전기자전류 증가로 인한 전기자권선 온도상승으로 출력제한
(3) 수소냉각 → 수소압력을 높여서 출력증대
2) 계자권선 과열에 의한 한계 → ②곡선
(1) 발전기 지상무효전력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
(2) 계자전류 증가로 인한 전기자권선 온도상승으로 출력제한
(3) 발전기 정격역률 이하의 지상영역에서는 과여자
3) 고정자 철심단부 과열에 의한 한계 → ③곡선
(1) 발전기 진상무효전력에 의해 제한되는 범위
(2) 계자전류 감소로 누설자속이 증가하여 고정자단부의 온도상승으로 인한 출력제한
(3) 발전기 정격역률 이하의 진상영역에서는 부족여자
(4) 철손(히스테리시스손 + 와류손) 발생
4) 정태안정도에 의한 한계 → ④곡선
· 발전기 동기리액턴스 및 계통의 리액턴스에 의한 제한
5) 동태안정도에 의한 한계 → ⑤곡선
· 고속 AVR이나 여자기를 조정하여 진상영역부분에서 출력상승
6) 수소냉각방식에 의한 한계
· 수소냉각방식으로 수소압력에 의해 출력범위가 변한다.
4. 수차발전기와 터빈발전기의 가능출력곡선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발전기 가능출력곡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전력계통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대용량 발전기의 진상운전! (88) | 2024.04.01 |
---|---|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기 정격역률이 계통에 미치는 영향! (139) | 2024.03.31 |
[발송배전기술사] 콘덴서의 투입 및 개방시 특성! (17) | 2024.03.29 |
[발송배전기술사] 계통의 전압조정! (20) | 2024.03.28 |
[발송배전기술사] 전압제어의 필요성! (17) | 2024.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