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발전기의 자기여자현상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개요, 발전기 무부하 포화곡선과 충전 특성, 발전기 자기여자현상의 영향, 발전기 자기여자 현상과 단락비, 발전기 자기여자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해 보겠습니다.

[문제] 발전기의 자기여자현상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 선로 충전용량보다 작은 발전기로 장거리 송전선로를 시충전할 경우 발전기를 무여자 상태에서 송전선로에 접속
하더라도 90˚ 진상전류인 선로의 충전전류에 의해서 전기자 반작용 중의 증자작용이 발생하여 발전기 단자전압이
순식간에 이상상승하게 되는 현상
2. 발전기 무부하 포화곡선과 충전특성

1) 장거리 송전선로의 경우
(1) 무여자의 경우 전압은 순식간에 VN
(2) 여자전류가 있는 경우 VM 값 까지 상승
2) 단거리 송전선로의 경우
(1) 무여자의 경우 전압이 유기되지 않음
(2) 여자전류가 있는 경우 VL 값 까지만 상승
3. 발전기 자기여자 현상의 영향
· 발전기 전기자 권선 열화
4. 발전기의 자기여자 현상과 단락비
1) 단락비(Ks)
· Ks≥Q′Q(VV′)2(1+σ), Ks≥Q′Q
· Q[kVA] : 발전기 정격용량 · Q′[kVA] : 선로 충전용량
· V[kV] : 정격전압 · V′[kV] : 충전전압 · σ : 포화계수(0.05~0.15)
2) 단락비가 클수록 송전선로 충전에 적합
(1) 단락비가 1정도일때 경제적임
(2) 수력발전기 : 1.0~1.2 정도 (장거리)
(3) 화력발전기 : 0.8~1.0 정도 (단거리)
5. 발전기의 자기여자 방지대책
· Ks≥Q′Q(VV′)2(1+σ), Ks≥Q′Q
1) 발전기 정격용량 증대 : Q ↑
· 발전기를 2대 이상 모선에 병렬로 접속
2) 단락비가 큰 발전기로 충전 : Ks ↑
3) 선로 충전용량 감소 : Q′ ↓
(1) 수전단에 병렬 리액터 접속(Sh.R)
(2) 수전단에 동기조상기 설치
(3) 수전단에 변압기 접속
4) 충전전압을 높인다. : V′ ↑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발전기의 자기여자현상에 대하여 설명해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송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선로의 대칭분 회로! (29) | 2024.01.28 |
---|---|
[발송배전기술사] 대칭 좌표법에 의한 고장계산! (20) | 2024.01.27 |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기의 무부하 포화곡선과 3상 단락곡선! (24) | 2024.01.25 |
[발송배전기술사] 차폐선(Shielding Wire)! (25) | 2024.01.24 |
[발송배전기술사] 유도장해! (23) | 2024.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