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ssing math: 28%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376

[발송배전기술사] 코로나 진동!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코로나진동에 대한 설명입니다.코로나진동의 발생원인, 현상,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전선의 바람에 의한 진동 중 코로나진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코로나진동의 발생원인  1) 물방울이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전선을 박차고 떨어질 때 전선은 반동력이 생긴다.   2) 이 반동력의 주파수가 전선의 고유진동주파수와 일치하여 공진하게 되면 코로나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2. 코로나진동의 현상  · 진동주파수 1~3[Hz], 전진폭 9~10[cm] 3. 코로나진동의 방지대책  1) 코로나 임계전압(E0=24.3m0m1δdlog10Dr[kV])을 높여 코로나 발.. 2025. 1. 1.
[발송배전기술사] Sub Span 진동!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Sub Span 진동에 대한 설명입니다. Sub Span 진동의 발생원인, 영향 및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전선의 바람에 의한 진동 중  Sub Span 진동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117회 4교시)[답]1. Sub Span 진동의 발생원인  · 다도체 선로에서 동일선상의 Spacer 간의 진동으로 Sub Span 내    교번력과 전선의 고유진동주파수가 공진할 때 발생한다. 2. Sub Span 진동의 영향  1) Spacer의 전선 지지부와 전선표면 손상  2) Spacer의 기계적 강도 저하 3. Sub Span 진동의 방지대책  1) Sub Span 간격 조정  2)  Spacer의 전선 지지부에 완충작용 갖도록하여 진동에너지 흡수    오.. 2024. 12. 31.
[발송배전기술사] Galloping!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Galloping에 대한 설명입니다.Galloping의 발생원인, 영향 및 특징,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Galloping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75회 1교시, 제113회 1교시)[답]1. Galloping의 발생원인  1) 착빙설이 전선표면에 비대칭적으로 비대화되었을 때 미풍을 받으면 공기역학 비대칭성에 의해 발생  2) 착빙설의 빙화  3) 고드름 부착  4) 상승기류에 의한 착빙  5) 전선의 사풍 등에 의해 발생  6) 진눈깨비, 습설의 착빙  7) 전선로의 경간장이 너무 길 경우  8) 전선의 장력을 너무 작게 취했을 경우  9) 전선의 진동 흡수장치 미흡  2. Galloping의 영향 및 특징  1) 미풍에 의한 전선 진동과는 다르다... 2024. 12. 30.
[발송배전기술사] 전선의 도약!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전선의 도약에 대한 설명입니다. 전선 도약의 정의,  발생원인, 영향 및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전선의 도약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107회 1교시)[답]1. 전선 도약의 정의  · 전선에 부착된 빙설이 일시에 탈락하면 그 전선이 장력을 잃게되어    반동력에 의해 위쪽으로 튀어오르는 현상 2. 전선 도약의 발생원인  1) 기온 - \,   2[˚C] ~ + 2[˚C] 에서 가장 많이 발생  2) 주로 해뜰무렵  3) 바람에 의한 착설(결빙되지 않은 눈)의 탈락 3. 전선 도약의 영향  1) 단락 또는 지락사고 발생  2) Arc로 인한 전선 용단, 소선 손상 발생  3) 내장경간 장력변화에 의한 완철 지지물 파손 - 불평등 장력으로 인한.. 2024. 12. 29.
[발송배전기술사] 가공송전선로의 미풍진동!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가공송전선로의 미풍진동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가공송전선로의 미풍진동현상의 발생원인, 문제점 및 방지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72회 2교시, 제115회 1교시)[답]1. 미풍진동현상의 발생원인  1) 풍속 6~7[m/s] 정도의 미풍이 전선과 직각방향으로 불 때,  2) 전선은 뒷쪽에서 발생하는 칼만와류에 의해서 상·하로 교번력이       발생, 진동하게 된다.   3) 이 때, 풍압에 의한 진동주파수(f_{ \omega })와 전선의 고유진동주파수       (f_{0})가 공진상태로 되어 진동을 지속하게 된다.     (1) f_{ \omega } =  k· \frac{v}{D}  [H _{z} ] : 풍압에 의한 진동주파수          .. 2024. 12. 28.
[발송배전기술사] 조가식 점퍼장치!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초초고압(765[kV]) 송전 선로에 적용하는 조가식 점퍼장치에 대한 설명입니다.[문제] 초초고압(765[kV]) 송전선로에 적용하는 조가식 점퍼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99회 1교시)[답]1. 조가식 점퍼장치 개요도 2. 조가식 점퍼장치의 구조  1) 조가식 점퍼장치는 795[kV] 송전선로 내장형 철탑에서 양측 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해주는 장치이다.  2) 점퍼선의 중앙부에 수평재 Spacer 강관을 배치하여 6도체 형상이 되도록 고정한다. 3. 조가식 점퍼장치의 특징  1) 연선식 점퍼선에 비해 철탑의 높이를 저감시킬 수 있어 경제적이다.  2) 공장에서 제작된 완제품을 탑상에서의 부착작업만으로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공기단축으로 설치비용저감.   오늘은 .. 2024. 12. 27.
[발송배전기술사] OPGW(Composite Fiber Optic Ground Wire)!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OPGW(Composite Fiber Optic Ground Wire)에 대한 설명입니다.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 OPGW(Composite Fiber Optic Ground Wire)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OPGW(Composite Fiber Optic Ground Wire)에 대하여 설명하시오.[답]1.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  1) 송전선 상부에는 뇌격 차폐용으로서 전력선과 평행으로 가선하고, 각각의 철탑에서 접지시킨 가공지선이 있으며  2) 가공지선은 강연선 → ACSR  →  OPGW(광섬유 복합 가공지선) 등으로 개선되어 사용되고 있다. 2. OPGW(Composite Fiber Optic Gro.. 2024. 12. 26.
[발송배전기술사] 송전철탑과 선로에서의 절연간격!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송전철탑과 선로에서의 절연간격에 대한 설명입니다.개요, 표준절연간격, 최소절연간격, 극한절연간격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송전철탑과 선로에서의 절연간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1.개요  · 송전철탑과 선로에서의 절연간격에는 표준절연간격, 최소절연간격, 극한절연간격 등이 있다. 2. 표준 절연간격  1) 정의      · T/L 지지물 설계시 뇌 Surge에 대한 애자련의 절연강도와 협조할 수 있는 공기절연거리  2) 고려사항      · Arcing Horn의 유·무 등 3. 최소 절연간격  1) 정의      · 개폐 Surge에 대한 애자련의 절연강도와 협조할 수 있는 공기절연거리  2) 고려사항       · 개폐 Surge, 개폐 Surge의 소멸속.. 2024. 12. 25.
[발송배전기술사] 철탑계탑공법(FTB : Floating Tower and Bottom-Up Method)! 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송전공학 문제 중 철탑계탑공법(FTB : Floating Tower and Bottom-Up Method)에 대한 설명입니다. FTB의 정의, 특징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문제] 철탑계탑공법(FTB : Floating Tower and Bottom-Up Method)에 대하여 설명하시오.(제118회 1교시)[답]1. 철탑계탑공법(FTB : Floating Tower and Bottom-Up Method)의 정의  1) 철탑의 추가설치가 곤란한 경우  2) 전력선이 가선된 상태에서   3) 철탑의 지상부 전체를 밀어올리고  4) 그 하부에 계탑재를 집합시켜  5) 임의의 높이까지 계탑하는 공법 2. 철탑계탑공법(FTB : Floating Tower and Bottom-Up Method.. 2024. 12.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