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공학 문제 중 복합발전 Boiler의 종류를 Cycle에 따라 분류한 설명입니다.
개요, 배열회수Boiler, 배기재연Boiler, 가압Boiler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복합발전 Boiler의 종류를 Cycle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하시오.(제63회 1교시, 제74회 4교시, 제123회 1교시)
[답]
1. 개요
· 복합발전 Boiler를 Cycle에 따라 분류해보면, 배열회수Boiler, 배기재연Boiler, 가압Boiler로 나뉜다.
2. 배열회수Boiler(HRSG)
1) HRSG의 장치선도
2) HRSG의 원리
· G/T 배기가스 이용, 열회수, 증기터빈 구동
3) HRSG의 장점
(1) 기동시간이 짧고, 가스터빈 출력비가 크다.
(2) 발전출력에 비해 온, 배수량이 적다.
(3) 기설 Plant Replace 용이
4) HRSG의 단점
· 증기터빈 단독운전 불가능
3. 배기재연 Boiler
1) 배기재연 Boiler의 장치선도
2) 배기재연 Boiler의 원리
· G/T 배기가스를 Boiler 연소공기로 이용, 가스 중의 잔존산소로 재연소
3) 배기재연 Boiler의 장점
(1) 송풍기 설치시 S/T 단독운전 가능
(2) 온, 배수량이 적다.
(3) 기설 Plant Replace 용이
4) 배기재연 Boiler의 단점
· 운전제어계 복잡
4. 가압 Boiler Cycle
1) 가압 Boiler Cycle의 장치선도
2) 가압 Boiler Cycle의 원리
· 압축기를 나온 고압공기를 Boiler의 연소공기로 사용, 가압연소하여 생성된 가스를 가스터빈으로 보내,
가스터빈 구동시켜 발전, 동시에 보일러에서는 증기를 생성하여 증기터빈 구동시켜 발전
3) 가압 Boiler Cycle의 장점
(1) 열효율 상승(1,100[˚C]에서 43[%] 정도)
(2) 자체 단독운전이 가능해서 비상용 전원으로 적합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복합발전 Boiler의 종류를 Cycle에 따라 분류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발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노후화된 화력발전소 Repowering! (72) | 2024.11.19 |
---|---|
[발송배전기술사] 발전소 운전제어방식 3가지! (337) | 2024.11.18 |
[발송배전기술사] IGCC와 PFBC! (321) | 2024.11.16 |
[발송배전기술사] PFBC(Pressurized Fluidized Bed Combustion : 가압유동층 연소발전)! (76) | 2024.11.15 |
[발송배전기술사] IGCC(Integrated Coal Gasification Combined Cycle : 석탄가스화 복합발전)! (74) | 2024.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