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 중 전압 변동률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등가회로와 Vector도, 수식 증명, 변압기 손실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전압 변동률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1) 개요도

2) 변압기에 정격부하를 걸고, 2차측 전압이 정격전압이 되면 부하를 차단
3) 무부하 상태에서 2차측 전압이 상승한다.
4) 2차측 전압 변화분을 2차측 정격전압의 백분율로 표시하면
· ε=V20−V2nV2n×100[%](전압 변동률) → ε100=V20V2n−1
2. 등가회로와 Vector도

3. ε=pcosθ+qsinθ+1200(psinθ−qcosθ)2
1) 여기서, 1200(psinθ−qcosθ)2은 다른항에 비하여 매우 작으므로 무시하면 ε=pcosθ+qsinθ가 된다.
· p=I2n·rV2n×100[%] : % 저항 전압강하
· q=I2n·xV2n×100[%] : % 리액턴스 전압강하
· %Z=√p2+q2 : % 임피던스
4. ε=pcosθ+qsinθ
1) 1n 부하일 때
· 2차 전류는 1nIn 이 된다. ε[%]=1n·pcosθ+1n·qsinθ
2) 역률 100[%], 즉, cosθ=1일 때
· ε=pcosθ+qsinθ 에서
ε=p=I2n·rV2n×100[%]=I22n·rV2n·I2n×100[%]=전부하동손전부하용량×100[%]=PC2P×100[%]
3) 보통 변압기에서는 p보다 q가 몇 배 정도 크다.(p<q)
4) 역률이 나쁘면 전압 변동률이 커진다.
5) 정전용량(C) 부하가 걸려 전압 변동률이 음(−)이 되면 페란티현상에 의해 전압이 상승한다.
5. 변압기 손실
1) 철손 : 무부하 손실
2) 동손 : I2R 부하손실
3) 주상 변압기의 철손, 동손 비율
철 손 | 동 손 | |
손실전력(첨두부하시) | 33[%] | 67[%] |
손실전력량(무부하시 포함) | 65[%] | 35[%] |
4) 철손 경감대책
(1) 자속밀도의 감소
(2) 저손실 철심재료의 채용
(3) 규소강판 사용
(4) 아몰퍼스 변압기 채용
(5) 철심구조 개선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계산문제로 나올 법한 전압 변동률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계산문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변압기 병렬 운전 시 부하분담! (5) | 2024.09.27 |
---|---|
[발송배전기술사] 수용가 △결선시 1대당 최저용량, V결선시 과부하율! (122) | 2024.09.26 |
[발송배전기술사] 변압기의 1권선에 전압의 진입파 침입시 중성점 전위산출! (86) | 2024.09.24 |
[발송배전기술사] 진행파의 반사와 투과! (4) | 2024.09.23 |
[발송배전기술사] 계통연계선에 한류리액터 삽입시 리액터용량 산출! (66) | 2024.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