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공학 문제 중 원자로의 보호대책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원자로 안전성의 3가지 레벨, 원자로의 보호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원자로의 보호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제69회 2교시, 제74회 1교시, 제111회 3교시, 제115회 3교시, 제119회 2교시)
[답]
1. 개요
1) 우리나라에서 가동중인 원자로는 경수로 및 중수로가 있으며,
2) 원자로는 그 자체적으로 안전성을 갖고 있으며,
2) 방사능이 외부환경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도록 여러단계로 보호대책이 마련되어 있다.
2. 원자로 안전성의 3가지 레벨
1) 제 1레벨
· 이상사태 발생자체를 방지하려는 목적
2) 제 2레벨
· 이상사태 발생 시, 원전종사자 및 인근주민들의 안전을 확보하려는 목적
3) 제 3레벨
· 최악의 사고발생을 상정하고, 일반인들을 방사능으로부터 보호하려는 목적
3. 원자로의 보호대책
1) 원자로 고유의 안전성
(1) 보이드효과(Void Effect)
· 핵분열반응이 증가하여 물의 온도가 상승하면, 밀도가 내려가서 중성자 감속이 나빠지므로, $ U^{235} $ 에 흡수되는
중성자 비율감소 → 핵분열반응 감소 → 온도하강
(2) 도플러효과(Doppler Effect)
· 핵분열반응이 증가하여 물의 온도가 상승하면, $U^{238}$ 이 중성자를 많이 흡수 → 핵분열반응 감소 → 온도하강
2) 다중 방호벽
· 방사성 물질이 발전소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러층의 방호벽
(1) 제 1 방호벽(펠릿, 핵연료 피복관)
· 연료(펠릿)를 지르코늄 합금의 금속 피복관에 넣고 밀봉
(2) 제 2 방호벽(원자로 압력용기)
· 두꺼운 강철로 만듦(20[cm] 이상)
(3) 제 3 방호벽(차폐 콘크리트벽)
· 두꺼운 콘크리트 벽 설치
(4) 제 4 방호벽(원자로 격납용기)
· 두꺼운 강철로 만듦
(5) 제 5 방호벽(원자로 건물외벽)
· 철근콘크리트구조(두께 120[cm] 이상)의 건물로서 외부와의 기압조정이나 여러겹으로된 Filter등에 의해
방사능 물질의 외부 누출방지
3) 긴급정지장치(Scrumming Device 및 Back Up System)
(1) 원자로 내의 중성자를 감시하여 이상현상시 경보발생후 대응조치함
(2) 조치지연시 자동으로 제어봉삽입되어 노내의 핵분열반응을 정지시킴
(3) Back Up System : 붕소에 의한 중성자흡수
4) 비상용 노심냉각장치(ECCS : Emergency Core Cooling System)
· 냉각수누출의 비상사태 발생시, 대량의 물을 일시에 주입, 원자로를 완전히 잠수시켜, 냉각토록하는 장치
5) 비상용 전원
(1) 긴급시나 정전시에, 제어계, 긴급 냉각계, 보조 냉각계, 환기계 등 안전상 필수불가결한 계통에 전원공급
(2) Gas Turbine 발전기가 주로 사용됨
6) 내진설계
(1) 원전부지는 지진에 대비하여 지반이 단단한 암반 위로 선정
(2) IAEA 승인필요
7) 주민들에 대한 안전대책
(1) 0.8[km] 이내 접근금지
(2) 1.5[km] 이내 거주금지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원자로의 보호대책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발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원자력발전의 특징! (225) | 2024.11.25 |
---|---|
[발송배전기술사] 원자로의 긴급정지 장치(스크럼장치)! (328) | 2024.11.24 |
[발송배전기술사] 원자력발전의 이점 및 원자로의 연료전환비! (120) | 2024.11.22 |
[발송배전기술사] 발전용 원자로! (217) | 2024.11.21 |
[발송배전기술사] 원자로의 구성! (176) | 2024.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