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 문제 중 안정도 향상대책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가속탈조 및 억제대책, 안정도 향상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대책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1) 안정도는 크게 정태안정도, 동태안정도, 과도안정도로 나누어지며, 과도안정도란 전력계통이 안정하게 송전
중일 때 외란이 발생해도 빨리 회복하여 안정하게 계속 송전할 수 있는 정도를 말한다.
2) 1기 무한대 모델계통

※ 무한대 모선
(1) 내부 임피던스 0
(2) 전압 E2는 크기와 위상이 부하의 증감에 관계없이 일정
(3) 큰 관성정수를 가진다.
(4) 이상적인 모델
(5) 안정도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무한대 모선계통이 연결되어 있음을 전제로 해석시 적용
※ 과도안정도 동요방정식
· dωdt=d2θdt2=ωM(Pi−Pn)==ωM(Pi−E1·E2X·sinδ)
2. 가속탈조 및 억제대책
1) 가속탈조 조건
(1) 고장 계속 중
· Pi≫E1·E2X′·sinδ (X′ : 고장 계속 중 전달 리액턴스)
(2) 고장 제거 후
· Pi≫E1·E2X″·sinδ (X″ : 고장 제거 후 전달 리액턴스)
2) 가속 억제대책
(1) 강제적으로 전기적 출력(Pn)을 증대시킨다.
(2) 기계적 입력(Pi)을 감소시킨다.
(3) 관성정수(M)를 크게 한다.
3. 안정도 향상대책
1) 계통의 리액턴스를 감소시킨다.
(1) 발전기 및 변압기용 기기의 리액턴스를 감소시킨다.
① 발전기 임피던스를 감소(Z↓≒X↓)시키면
· 단락비가 커지며 대형으로 되어 관성정수가 커진다.(M↑)
② 단권변압기 채용으로 리액턴스가 감소되면 송전력 증가
· Pn↑=E1·E2X↓·sinδ
(2) 병렬회선수를 증가하거나 복도체를사용한다.
① 병렬회선이 증가할 수록 L 감소, C 증가하여 리액턴스(X) 감소
② 복도체 사용으로 인덕턴스 20 ~ 30[%] 정도 감소
· Ln=0.05n+0.4605log10Dn√r·sn−1[mH/km]
③ 복도체 사용으로 정전용량 20 ~ 30[%] 정도 증가
· Cn=0.02413log10Dn√r·sn−1[μF/km]
(3) 직렬콘덴서 설치하면 C 증가하여 리액턴스(X) 감소
·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를 보상함으로써 안정도 향상
2) 계통전압의 승압
· Pn↑=E1↑·E2↑X·sinδ (X 일정시 E↑⟶P↑)
3) 계통전압의 변동억제
(1) 속응여자방식과 PSS 설치
① 고장발생으로 변압기 전압 저하시 고성능 AVR 사용
② 발전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 그 만큼 안정도 향상됨
(2) 중간 조상방식 채용
· 선로의 중간에 조상기를 설치하여 그 점의 전압을 상승시켜 Pn 증대

(3) 계통연계
· 계통을 연계함으로써 계통용량이 증대되어 고장시 전압의 변동이 작아진다.
4) 사고시 계통에 주는 충격경감
(1) 적당한 중성점 접지방식 채용
(2) 고속도 차단방식 채용 : 상차각이 벌어지지 않도록 신속히 차단
(3) 재폐로 방식 채용 : 고장제거 후 신속히 재송전함으로써 안정도 향상
(4) 중간 개폐소 설치 : 송전선 고장구간을 짧게해서 리액턴스 증가억제
5) 발전기 입·출력의 평형화
(1) 초고속 조속기 채용 : 원동기 입력을 조정하여 발전기 입력(Pi)을 경감시킴
(2) 제동저항(SDR) 설치 : 고장 발생시 입·출력 변동억제(TCBR 같은 역할)
(3) 터빈 고속제어밸브(EVA) 설치 : 발전기의 기계적 입력을 신속하게 제한, 발전기 가속 방지
6) 기타
(1) FACTS : 송전용량 증대 및 전압변동을 억제하여 안정도 향상(TCSC, TCBR, TCPR, STATCON, UPFC)
(2) HVDC : 선로의 리액턴스 및 위상각을 고려하지 않으므로 안정도 향상
(3) SMES(초전도 자기에너지 저장기기) : 광범위한 영역에서 효과기대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 문제로 나올 법한 전력계통의 안정도 향상대책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전력계통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배전자동화(KODAS)! (10) | 2024.04.23 |
---|---|
[발송배전기술사] 배전선의 보호방식! (17) | 2024.04.22 |
[발송배전기술사] 내부이상전압의 종류 및 크기! (14) | 2024.04.20 |
[발송배전기술사] 내부이상전압의 종류 및 발생원인! (275) | 2024.04.19 |
[발송배전기술사] 765[kV] 계통! (21) | 2024.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