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공학 문제 중 사고파급 및 System 붕괴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사고파급 발생원인, 사고파급 방지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전력계통에서 사고파급 및 System 붕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1) 사고파급
· 전력계통을 구성하는 기기는 전기적으로 매우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어 한 기기에서 발생한 사고가 주변기기에 영향
을 미치고, 2차, 3차 사고를 유발하게 된다.
2) System 붕괴
· 사고파급으로 System 전체 또는 일부가 그 기능을 잃게 되는 것
2. 사고파급 발생원인
1) 유효전력 수급 불균형에 의한 주파수의 이상변화(P - f)
(1) 수급 불균형으로 주파수변화 → 발전기가 System으로 부터 탈락
(2) dωdt=d2θdt2=ωM(Pi−Pn)=ωM·△P
(3) △P=Mω·dωdt=M2πf·d2πfdt=Mf·dfdt
2) 무효전력 수급 불균형에 의한 전압의 이상변화(Q - V)
(1) 무효전력 급증, 지락, 단락사고 등에 의한 전압강하 → 병렬기기, 송전선탈락 확대되면 System 붕괴
(2) △V=Es−Er=I(Rcosθ+Xsinθ)=PR+QXEr
· △V=QXEr(R≪X일때)
(3) 정전압방식 Er, X가 일정하다면
· △V∝Q : 전압변동은 무효전력에 비례한다.
3) 송전선의 과부하(Over Load)
(1) 과부하에 의한 고장, 다른회선 과부하 → 연속발생
(2) 결국 전체회선 차단
4) 송전선 사고에 의한 System 탈락
(1) 안정도 악화로 인한 탈조, 다른회선의 안정도 악화로 인한 탈조 → 연속발생
(2) 결국 System 탈락
5) 이상전압 전파에 의한 사고발생(이상 지락사고)
(1) 이상전압이 System 내 전파
(2) 절연이 약한 곳에서 섬락사고 유발
3. 사고파급 방지대책
1) System 강화와 적정연계
(1) System의 구조강화
① 전원설비의 적정용량 산정 : 심사곡선법 사용
· 기저부하 : 원자력발전
· 중간부하 : 화력발전
· 첨두부하 : 가스터빈, 수력발전
② 공급예비력 확보

· 설비예비력 : 설비용량 - 최대수요
· 투자규모나 경영성, 효율판단자료
· 공급예비력 : 공급용량 - 최대수요
· 설비운용 및 전력수급 안전성 판단의 지표
· 운영예비력 : 대기예비력 + 운전예비력
· 대기예비력 : 수력, 특정시간 30분 내외 응동
· 운전예비력 : 위험부담 수준, 단기수요 예측, 발전기의 신뢰도 고려,
화력운전 중 발전기 출력 여유분 10분 이내 응동
· 여유예비력 : 20분정도 이내 계통에 병입이 가능한 정지상태의 수력, 양수, 가스터빈, AFC 발전소가 맡고 있는
공급력
· 고장 정지에 대비하여 자동, 수동 응동
· 순동예비력 : 조속기 Free운전에 의한 공급력, 계통에 병입된 발전기 출력조정
· 수력 : 최대출력과 현재출력과의 차이
· 화력 : 정격출력의 5[%] · 원자력 : 정격출력의 0[%]
· 주파수유지 목적, 최소상시출력의 3[%] 이상
· AGC, G.F 운전으로 10초 이내 응동
③ 자력복구 가능한 전원설비의 도입
· 수력발전, 양수발전, 복합발전
(2) 적정연계
① 경제성과 신뢰성을 최대로할 수 있는 적정연계 도입
② 연계 본래 목적과 사고파급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2) 보수계획과 그 실시방법의 합리화
(1) System의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하여 보수계획수립
(2) 실시 도중 인위적인 실수를 최소화
3) 안전도 급전문제
· 사고나 외란 발생시 이겨낼 수 있도록 계통운영
(1) 안전도제어 절차

① 예방제어 : 미리상정한 사고발생시 사고파급을 막기위한 예측점검 및 적절한 대책수립
② 긴급제어 : 사고발생시 사고파급과 System 붕괴를 막기위한 대책수립
③ 복구제어 : System 붕괴시 System을 원래 상태로 복구
(2) 안전도제어
예) Load Shedding → UFR(저주파수 계전기)로 조정

① 주파수 저하정도에 따라 적정량의 계통부하를 차단 → 발전력과 부하량이 평형이 되게해서 계통주파수 회복
② 주파수 절대치에 의한 부하제한
· 58.5[Hz] : 1차 부하제한
· 57.8[Hz] : 2차 부하제한
· 57.6[Hz] : 3차 부하제한
4) 기타기기에 대한 대책
(1) 속응여자기 + PSS(전력계통안정화장치)
(2) FACTS(가변교류송전시스템)

(3) HVDC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전력계통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사고파급 및 System 붕괴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전력계통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계통의 전압조정! (20) | 2024.03.28 |
---|---|
[발송배전기술사] 전압제어의 필요성! (17) | 2024.03.27 |
[발송배전기술사] 전력 계통에서 대용량 전원 탈락 시 현상! (16) | 2024.03.25 |
[발송배전기술사] 수차발전기의 부하 차단 시 이상전압? (15) | 2024.03.24 |
[발송배전기술사] P - f Control! (17) | 2024.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