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초고압 변압기의 이행전압에 대한 설명입니다.
개요, 초고압 변압기 이행전압의 종류, 초고압 변압기 이행전압에 대한대책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초고압 변압기의 이행전압의 종류를 설명하고, 변압기 이행전압에 대한 대책을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1) 변압기 이행전압의 정의
· 변압기 1차측에 가해진 Surge가 정전적 혹은 전자적으로 2차측으로 이행하는 전압을 변압기 이행전압이라 한다.
2) 변압기 2차권선, 2차측에 접속되는 기기의 절연에 영향을 준다.
3) 전압비가 큰 변압기에 대해서는 이행전압이 2차측의 BIL값을 상회할 때도 있으므로 보호장치가 필요하다.
2. 초고압 변압기 이행전압의 종류
1) 정전이행전압
(1) 변압기 권선에 가해지는 Surge 전압이 양 권선간 및 2차 권선과 대지간의 정전용량으로 분압되어 생기는 전압
(2) 가장 문제가 되며, 방지대책 필요
2) 전자이행전압
(1) 1차 권선에 가해진 Surge 전류에 의한 자속에 의해 2차 권선에 유기되는 전압
(2) 권수비가 기준이 됨
(3) $e = \frac{E}{r} · \frac{ Z_{2} }{Z_{2} +Z_{1} ' } (1- \varepsilon ^{- \frac{Z_{1} ' +Z_{2}}{ L_{s}}t } )$
· $r$ : 권수비 · K(감쇠계수) : $1- \varepsilon ^{- \frac{Z_{1} +Z_{2}}{ L_{s}}t}$
· $ L_{s}$ : 변압기권선 인덕턴스($L_{s}= L_{1} + L_{2} -2M$) · $Z_{1} '= \frac{ Z_{1} }{r^{2} } $ : 2차측으로 환산한 값
3) 2차 권선의 고유진동전압
· 위 두 경우에 2차 권선에 생기는 고유진동전압
3. 초고압 변압기 이행전압에 대한 대책
1) 전자이행전압에 대한 대책
(1) 변압기 2차측에 피뢰기 및 보호 콘덴서를 설치(즉, 피뢰기와 보호콘덴서의 조합에 의해 보호하는 방법을 Surge
Absorber라 한다.)
(2) 2차측 권선의 기준충격절연강도(BIL)를 높인다.
(3) Surge Absorber 접속도
2) 정전이행전압에 대한 대책
· 보통의 변압기 정전용량($C_{12} $은 $10^{-2} [ \mu F]$ 정도이므로, 2차측과 대지간에 5~10배인 0.05 ~ 0.1$ [ \mu F]$의 콘덴서를
설치하면, 이행전압은 억제되므로 실계통에서는 별문제가 없다.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로 나올 법한 초고압 변압기의 이행전압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기술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절연의 종류! (11) | 2024.07.01 |
---|---|
[발송배전기술사] Yd1과 Yy0d1의 설명! (138) | 2024.06.30 |
[발송배전기술사] 메시전압, 보폭전압, 전이전압, 접촉전압! (11) | 2024.06.28 |
[발송배전기술사] 변압기의 여자돌입전류! (10) | 2024.06.27 |
[발송배전기술사] 변압기의 냉각방식! (304) | 2024.06.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