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공학 문제 중 관류형 Boiler 화력발전소의 주급수 및 주증기 System의 Flow Diagram 및 관류형 Boiler의 주요기기들의 기능에 대한 설명입니다.
관류형 Boiler 화력발전소의 주급수 및 주증기 System의 Flow Diagram, 관류형 Boiler의 주요기기들의 기능 순으로 서술하겠습니다.
[문제] 전형적인 500[MW]급 관류형 Boiler 화력발전소의 주급수 및 주증기 System의 Flow Diagram을 나타내고, 주요기기들의 기능을 설명하시오. 단, 과열저감기, 재열시스템 및 기동시 바이패스 계통을 포함하고, 터빈추기계통은 생략하기로 함.(제81회 3교시, 제84회 1교시, 제115회 2교시)
[답]
1. 관류형 Boiler 화력발전소의 주급수 및 주증기 System의 Flow Diagram
2. 관류형 Boiler의 주요기기들의 기능
1) 절탄기(Economizer)
(1) 설치위치
· 과열기 다음단의 연도에 설치
(2) Boiler 본체 및 과열기를 통과한 연도의 배기가스인 여열을 이용해서 Boiler에 공급되는 급수를 가열
2) 급수가열기
· 재생 Cycle에서 터빈의 도중에서 증기의 일부를 추기하여 Boiler 급수를 가열하여 열효율을 높이는 장치
3) 복수기(Condenser)
(1) 설치위치
· Turbine의 바로 다음단에 설치
(2) 증기터빈에서 일을 한 증기를 그 배기단에서 냉각시키고, 터빈 배기단에 진공상태를 만들어서 배기압력을 저하
시킴
4) 과열기(Super heater)
(1) 설치위치
· Boiler내 증발수관의 바로 다음단에 설치
(2) 포화증기를 가열해서 과열증기를 만드는 장치
5) 공기예열기(Air Preheater)
(1) 설치위치
· 절탄기의 바로 다음단에 설치
(2) 절탄기를 나온 연소가스의 여열을 회수해서 찬공기를 예열하고 이것을 화로로 보내어 연소효율을 높이는 장치
6) 재열기(Re heater)
· 고압 Turbine에서 팽창한 증기를 추출, Boiler에서 재가열(540[˚C])하여 적당한 과열도를 갖도록하는 과열장치
7) 급수 Pump(BFP : Boiler Feeder Pump)
(1) Boiler에 급수를 공급하는 장치
(2) Turbine 구동형 급수 Pump(BFP-T) - 평상시 운전
(3) Motor 구동형 급수 Pump(BFP-M) - 비상시 운전
8) 과열감지기
(1) 출력 변화시 주증기의 온도 과다상승은 Boiler Tube의 손상을 일으킴
(2) 주증기의 온도 과다상승을 방지하고, 주증기 온도의 정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장치
9) By - Pass
· Turbine Trip시 Boiler를 계속 운전하기 위해 By - Pass 시킨다.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 발전공학 문제로 나올 법한 관류형 Boiler 화력발전소의 주급수 및 주증기 System의 Flow Diagram 및 관류형 Boiler의 주요기기들의 기능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발전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Boiler 급수에 포함된 불순물에 의한 장해현상 및 급수처리 방식! (306) | 2024.11.06 |
---|---|
[발송배전기술사] TBN By Pass! (232) | 2024.11.05 |
[발송배전기술사] 화력발전소에서 급수순환방법에 따른 보일러의 종류 및 특징! (123) | 2024.10.20 |
[발송배전기술사] 기력발전기의 열효율 및 열효율 향상방안! (65) | 2024.10.19 |
[발송배전기술사] 기력발전소의 열효율! (80) | 2024.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