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발송배전기술사 기술용어 문제 중 수요관리(DSM : Demand System Management)에 대한 문제 풀이입니다.
DSM의 개요, 필요성, 특징, 요금제도, 기기의 효율 개선 방법 등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문제] DSM(Demand System Management)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답]
1. 개요
· LM(Load Management : 부하관리)은 부하의 경향을 분석하여 Peak 부하를 억제, 조절하고, 심야 경부하를 조정하
여 부하의 평준화를 도모하고, 사용의 합리화를 기하여 설비의 효율성을 제고, 투자비 및 전력원가 절감을 위한 것
으로 DSM과 SSM으로 분류된다.
1) 수요관리(DSM : Demand System Management)
· 전력수요 절감 및 부하의 평준화를 통하여 기존 설비의 이용률을 향상시킴으로써 전력공급 비용을 절감하는 활동
2) 공급관리(SSM : Supply System Management)
· 공급자측에서 수용 충족을 위한 설비의 합리적 운영
(1) 연계운전
· 부하의 패턴이 다른 계통을 연계하여 설비 이용률, 부하율 향상
(2) 전기 에너지 저장
· 양수발전, 축냉,축열, 압축공기 저장 등
(3) 공급 예비력의 적정 확보
· 전원 구성, 용량 선정, 적정 장기 전원 개발 등
2. 부하 관리의 필요성
1) 부하율의 악화
(1) 산업용 중심에서 업무용, 주택용으로 비중 증대
(2) 계절성 단기 냉·난방부하 증가
2) 전력수요의 급격한 신장
(1) 가정용 전력수요 증가
(2) 3차 산업 급성장에 따른 일반용 전력수요 증가
3) 발전설비 확충의 어려움 증대
(1) 전원입지 확보곤란(NIMBY 현상)
(2) 발전소 건설예정지역 주민의 반대
(3) 환경규제 강화 등
3. 전력 수요관리의 유형별 특징
1) 최대수요 억제
(1) 개념
· Peak 시 발전원가 높은 설비의 가동 축소
(2) 방법
① 냉방기기 가동중지 유도
② Peak 시간 기준으로 기본요금 부과
(3) 효과
· Peak 시 고가 연료 절약
2) 기저부하 증대
(1) 개념
· Off-Peak 시의 전력수요 증대
(2) 방법
· 축열난방, 심야온수 설비
(3) 효과
· 평균 공급비용 절감
3) 최대부하 이전
(1) 개념
① Peak 시의 전력수요를 경부하 시간대로 이전
② 최대수요 억제
③ 경부하 시간대의 전력수요 증가
(2) 방법
① 축냉식 설비(냉방)
② 계절별, 시간별 차등 요금제
③ 양수 발전소 가동
(3) 효과
· 최대부하 억제, 심야부하 창출
4) 전략적 소비절약
(1) 개념
① 전기 Service 수준 유지
② 전력 수요만 감소
(2) 방법
① 전기사용 방법 개선
② 절전 유도
(3) 효과
① 수급 불안시 대처 비용 절감
② 비용 억제 효과
5) 전략적 부하증대
(1) 개념
· 공급 > 수요 일 때, 설비 이용률 향상
(2) 방법
① 새로운 전기 이용 기술 개발 및 보급
② 이중 연료 사용, 냉 · 난방 설비 보급
(3) 효과
① 전력생산 향상
② 화석연료 의존도 경감
6) 가변부하 조성
(1) 개념
· 불필요한 부하에 전력공급을 중단시켜 전력수요 정정
(2) 방법
① 냉 · 난방 부하 원격제어
② 비 전선로의 교대 차단
③ 요금제도 차등적용
(3) 효과
① 공급 신뢰도 향상
② 예비율 감소
③ 공급비용 절감
4. 수요관리 요금제도
구 분 | 대 상 | 목 적 | 혜 택 |
하계휴가 조정 요금제도 | 계약 전력 500[kW] 이상 | Peak 삭감 | 한전의 지정 기간에 최대수요전력 50[%] 절감시 1일당 3일분 기본요금 감면 |
전력수급 조정 요금제도 | 계약 전력 500[kW] 이상 | Peak 삭감 | 한전의 사전 요청으로 50 [kW] 이상 조정시 1일당 5일분 기본요금 감면 |
계절별, 시간별 차등 요금제도 | 산업용, 업무용, 교육용 | Peak 삭감 | Peak 부하, 중부하, 경부하 3단계로 구분하여 시간대별 차등요금 적용 |
5. 기기의 효율 개선
· 형광 Lamp 의 규격 축소, Compact 형광 Lamp 화, 전자식 안정기 사용, 고효율 등기구, 크립토 전구 사용, LED 등
사용 등
오늘은 발송배전기술사에서 나올법한 문제인 DSM에 대해서 공부해보았습니다.
'발송배전기술사 서브노트 > 기술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송배전기술사] 고객관점에서의 배전계통 신뢰도지수 4가지! (180) | 2024.07.10 |
---|---|
[발송배전기술사] 직접부하제어(Direct Load Control)의 의의와 필요성! (265) | 2024.07.09 |
[발송배전기술사] TT(Terra Terra) 계통 접지방식과 IT(Insulation Terra) 계통 접지방식! (197) | 2024.07.07 |
[발송배전기술사] TN(Terra Neutral) 계통 접지방식! (250) | 2024.07.06 |
[발송배전기술사] 공통접지방식의 장·단점! (264) | 2024.07.05 |
댓글